earticle

논문검색

『장자(莊子)』와 석도(石濤)의 사상으로 본 동양회화 창작론 - ‘몸’과 ‘세계’의 측면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reation Theory of Eastern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s of Zhuang-zi and Shitao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theory of Eastern painting creation in terms of 'body' and 'world' from the perspectives of Zhuang-zi and Shitao(石濤, 1630-1707). Shitao's thought has many aspects in the same vein as the Zhuang-zi’s thoughts. Shitao's thought can be considered that he inherited Zhuang-zi and extended Zhuang-zi to the theory of painting creation. Althoug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aspects of Shitao’s thought were influenced by Zen Buddhism and Yangmingism, it cannot be denied that much of his thought came from Zhuang-zi. From this lin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Zhuang-zi and Shitao. In this paper, the theory of Eastern painting creation is discussed by connecting with 'Painter and the Body' and 'Painter and the World'. In 'Painter and the Body', the paper discusses painting creation theor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Shén(神)' and 'Dao (道)'. Also the theory of painting creation is discussed with the concepts of 'Things and I are one[物我一體]' and 'Zìrán(自然)' in 'Painter and the World'. Contemporary culture considers ‘body’ as a subject including ‘spiritality’. However, in most studies of Eastern art, the main flow has emphasized ‘spiritality’ over ‘body’, and the flow has made the same trend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However, this thesis reconsiders creation theory of Eastern painting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unity of spiritality and body. In this thesis, Zhuang-zi and Shitao’s Shén(神) is not simply a being with a spiritual aspect, but a spiritual and alive being which activates human actions by merging the senses and experiences of the body. In other words, Shén(神) is a subordinate being to the body and a complex being which is in charge of human life by merging the spiritual and the vital aspects. By re-establishing the concept, this paper does not claim that the physical aspect of the body is superior to the spiritual aspect. Instead of that, the paper proposes to consider the painting creation theory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in which the physical and spiritual aspects are intertwined.

한국어

본 논문은 『장자』와 석도(石濤, 1630~1707)의 사상을 바탕으로 ‘몸’과 ‘세계’의 측면에서 동양회화 창작론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도의 예술사상은 『장자』사상과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많으며, 『장자』사상을 계승하여 회화 창작론으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고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석도가 선불교와 양명학의 영향을 받은 측면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그의 사상의 상당 부분은 『장자』에서 온 것임을 부인 할 수 없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본문에서는 동양회화 창작론을 ‘화가와 몸’과 ‘화가와 세계’로 나누어 고찰을 진행한다. ‘화가의 몸’에서는 ‘몸’ 과 연관된 ‘신(神)’과 ‘도(道)’ 개념을 중심으로 회화 창작에 관하여 논하고, ‘화가와 세 계’에서는 ‘세계’와 연관된 ‘물아일체(物我一體)’ 및 ‘자연(自然)’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 한다. 동시대의 문화는 ‘몸’을 정신을 포함한 하나의 주체로 사유하고 있다. 그러나 동 양예술 연구에 있어서는 대부분 ‘정신성’을 정신과 형체의 집합체인 ‘몸’보다 강조하는 사조가 우세해 왔고, 그 사조에 편승하여 정신성을 강조한 연구도 학계의 하나의 큰 흐 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에 본 논문은 심신일원적 ‘몸’ 개념을 중심으로 동양회화 창 작론을 재고한다. 이 논문에서 『장자』와 석도의 ‘신(神)’은 단순히 정신적 측면만 가지 고 있는 존재가 아니고, 몸의 감각과 경험을 융합하여 현재의 행위를 끌어낼 수 있는 정신적이면서 생명적 존재이다. 다시 말해, 신(神)은 몸에 종속된 존재이면서 정신적 측면과 생명 활동의 측면을 융합한 삶의 행위를 담당하는 복합적 존재이다. 이러한 개 념의 재정립을 통하여, 본 논문은 몸의 물리적 측면이 정신적 측면보다 우월하다고 주 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물리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이 서로 맞물린 통합된 시각으로 예술창작론을 고려해 보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화가와 몸; ‘신(神)’과 ‘도(道)’ 개념을 중심으로
Ⅲ. 화가와 세계; ‘물아일체(物我一體)’와 ‘자연(自然)’ 개념을 중심으로
Ⅳ.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희 Kim, Jung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