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서예의 한국 서예사적 위상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Study on the Historical Status of Korean Calligraphy in Changam Lee Sam-man

조민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Changam Lee Samman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Changam has a unique status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calligraphy history, Wáng Xīzhī’s Jin Dynasty typeface and Zhàomèngfǔ’s Shu Dynasty typeface are generally popular, because Changam emphasizes the Han Dynasty calligraphy trend and the Wei Dynasty calligraphy trend. However, Changam emphasizes the Han Dynasty calligraphy trend and the Wei Dynasty calligraphy trend. In the case of emphasizing the trend of Han and Wei calligraphy, it generally does not deviate from the aesthetics of moderation. However, while emphasizing the calligraphy trends of the Han Dynasty and the Wei Dynasty, Changam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carries out a calligraphy trend with madness based on Taoism. This reason of Changam contains calligraphy aesthetics related to what the original form of calligraphy is. Changam basically rejects the aesthetics of Confucianism’s moderation and emphasizes the masculine strong aesthetics based on Taoism’s madness,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true typeface of the eastern country.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true typeface of the eastern country, in that it wants to connect Yi Gwangsa, and the typeface that Changam ultimately wanted to write was neither a Jin typeface nor a Shǔ typeface. Changam rejects the idea of ‘entering the Jin Dynasty from Tang Dynasty’ related to calligraphy creation, stressing that it should emulate the ‘Han Dynasty and Wei Dynasty calligraphy trend,’ which corresponds to an old style of calligraphy. Basically, Chaeong emphasizes that calligraphy originated from nature. Specifically, this idea developed into a calligraphy aesthetic that emphasized ‘stupid and frivolous’ and ‘communicated in the spirituality’ based on ‘dao follows nature'. This reason contains the aesthetic of calligraphy that seeks to find the true self through exploration of the source of calligraphy. The calligraphy aesthetics that seeks to find the true me is shown to enhance Kim Saeng as a great calligrapher and to emphasize the greatness of Korean calligraphy through the ‘small Chinese consciousness’ in calligraphy. In this regard, Changam has the status and value of Korean calligraphy.

한국어

본 논문은 창암蒼巖李三晩이 한국 서예사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 가를 고찰한 것이다. 창암은 한국서예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조선조 서예사에서는 대체적으 로 왕희지의 진나라 서체[晉體]와 조맹부의 촉나라 서체[蜀體]가 유행하는데, 창암은 한나라 서풍와 위나라 서풍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한위漢魏서풍을 강조하 는 경우에는 큰 틀에서는 중화미학을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창암은 한위 서풍을 강 조하면서도 노장철학에 근간한 일종의 광기어린 서풍을 펼친다는 점에서 차별상을 보 인다. 창암의 이런 사유에는 서예의 원형이 무엇인가와 관련된 서예미학이 담겨 있다. 창암은 기본적으로 유가의 중화미학을 거부하고 노장의 광기미학에 근간한 양강지미陽 剛之美를 강조한다. 아울러 창암은 이광사李匡師를 잇고자 한다는 점에서 동국진체의 맥락에서도 이해될 수 있는 데, 창암이 궁극적으로 쓰고자 한 서체는 진체도 아니고 촉 체도 아니다. 창암은 타고난 천연의 기질과 서예를 통한 통령通靈사유에 기반한 주체 적 예술정신을 펼치고자 한다. 창암은 서예창작과 관련된 ‘유당입진由唐入晉’ 사유를 거부하면서 고체古體서풍에 해당하는 ‘한위 서풍’을 본받을 것을 강조한다. 이에 기본 적으로 채옹蔡邕의 ‘서조어자연설書肇於自然說’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이같은 사유는 도법자연道法自然에 입각한 일운무적逸韻無跡, 득필천연得筆天然’을 비롯하여 우졸愚 拙및 통령通靈을 강조하는 서예미학으로 전개된다. 이런 사유에는 서예의 근원에 대 한 탐색을 통한 진아眞我서풍을 지향하는 서예미학이 담겨 있다. 이같은 진아 서풍의 경향은 김생金生을 위대한 서예가로 높이고, 아울러 서예에서의 소중화小中華의식을 통해 한국서예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채옹의 ‘서조어자연설書 肇於自然說’ 및 도법자연과 우졸을 통한 창신적 예술창작 정신을 제시하면서 서예창작 의 주체성을 강조한 점에 창암 서예의 한국서예사적 위상과 그 가치가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선조 서예사에서의 왕희지[晋體]와 조맹부[蜀體] 위상
Ⅲ. 창암의 김생金生과 이광사李匡師추존의 의미
Ⅳ. 창암의 도법자연道法自然정신과 우졸愚拙서풍의 한국서예사적 위상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민환 Jo, Min Hwa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