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해도굿 장단의 특징과 장단 운용 원리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gut Jangdan and the Principles of Operating Jangdan

이은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the Jangdan of Hwanghaedo-gut to study abou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gut Jangdan and the principles of operating Jangdan by analyzing the Jangda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field research. The abov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Jangdan of Hwanghaedo-gut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accompaniment of shaman songs and the accompaniment of dances and varie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s of Yeonan-gut and Naeryuk-gut and Gyeolrye. Also the Jangdan of Hwanghaedo-gut shows a very complex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Gutgeori and the portion of divinity while it encompasses all the above characteristic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Gut. When Sangjanggu operates the Jangdan in the performance of Hwanghaedo-gut, he intended to play the optimized Jangdan that help a shaman fall into a trance to communication with gods by applying four principles: ‘slow and fast of the tempo’, ‘heteronym and multi-usages’, ‘connection and combination’, ‘application and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of Hwanghaedo-gut and the principles of operating Jangdan can be the distinguish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gut from other local shaman ritual music. The cont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gut Jangdan and the principles of operating Jangdan uncovered in this study have a potential to expand the discussion to the educational application for Gugak. If the discussion on the musical aspects of Hwanghaedo-gut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continue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Gut music based on the specificity of local music can be enhanced.

한국어

본 연구는 황해도굿의 장단에 주목하여 현장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장단을 분 석함으로써 황해도굿 장단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단 운용 원리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황해도굿의 장단들은 전반적으로 무가의 반주 장단과 춤의 반주 장단으로 구분되며, 연안 굿과 내륙굿의 구분 및 결례에 따라 연주되는 장단이 달라진다. 또한, 황해도굿의 장단은 굿 거리의 중요도 및 신격의 비중과도 관계가 있는 한편, 이러한 모든 특징을 아우르면서 굿의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띤다. 황해도굿의 연행에서 상장구들은 장단을 운용할 때 ‘속도(速度)의 완급(緩急)’, ‘이명(異名) 과 범용(汎用)’, ‘연결(連結)과 결합(結合)’, ‘응용(應用)과 변화(變化)’의 4가지 원리를 적용함 으로써 만신의 강신을 도와 신령과의 소통에 최적화된 장단을 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황해도굿 장단의 특징과 장단 운용 원리는 타 지역의 무악과는 구별되는 음악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황해도굿 장단의 특징 및 장단 운용 원리에 관한 내용은 국악교육적 활용에까지 그 논의를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황해도굿의 음악 적 측면에서 교육적 관점의 논의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지역 음악의 특수성에 기반한 굿음악의 교육적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황해도굿 장단의 전반적인 특징
Ⅲ. 황해도굿의 장단 운용 원리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솔 Lee, Eun-Sol.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음악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