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단

일본 부흥 내셔널리즘을 넘어서 : 포스트 3·11 재난문학의 행방

원문정보

Beyond the Japan’s Reconstruction Culture Theory

배관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views Japanese ideas and aesthetics related to “reconstruction” while verifying the analysis of Fukushima Ryota’s Reconstruction Culture Theory: Genealogy of Japanese Creation. His Reconstruction Culture Theory is clearly fresh in that it reverses the conventional concepts of traditional literature and thought history. However, a closer look brings up a question whether his argument is eventually very similar to the ‘reconstruction’ logic of the 2020 Tokyo Olympic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culture theory, which can be read consistently to some extent as “reconstruction,” should be completely denied. I think highly of the fact that such a view began to be actively discussed in terms of “disaster literature” after the Tohoku Earthquake, and I stand with it. However, I consider it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what the Reconstruction Culture Theory of “Japan” means from the perspectives of “local” and“region,” which is missing in the reconstruction discourses on both sides. In this light, I would like to ask whether Fukushima Ryota’s reconstruction discourse- despite his own denial - neglects “local” and “region” by being preoccupied with national traditions, history and nationalism. In addition, I examined what position the classical works cited by Fukushima Ryota took on the “local” and “regional” reconstruction rather than national reconstruction. This is because I expected that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d emerge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state, would explain ‘disaster’ and ‘reconstructio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oday. I think this will open a new perspective on “local” and “region,” which are easy to forget in the name of “reconstruction of Japan.”

한국어

본고에서는 주로 후쿠시마 료타의 『부흥 문화론: 일본적 창조의 계보』의 분석을 검증하면서 ‘재해-부흥’과 관련한 일본의 사상과 미학을 재고했다. 그의 부흥 문화론은 종래 전통적인 문학과 사상사의 통념을 뒤집는다는 점에서 분명 신선하게 읽히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의 논점은 결국 2020 도쿄올림픽의 ‘부흥’ 논리와 유사해져 버리는 것이 아닌가 의문이 든다. ‘재해-부흥’으로 어느 정도 일관되게 읽을 수 있는 일본문화론의 중요성이나 의의를 전면 부정해야 한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필자는 그러한 관점이 동일본대지진 이후 ‘진재문학’ 혹은 ‘재난문학’이라는 용어로 적극 이야기되며 논의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며 그에 동조하는 입장에 서 있다. 다만 양쪽의 부흥 담론에서 놓치고 있는 지점, 즉 ‘일본’ 부흥 문화론이 ‘지방’과 ‘지역’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2020 도쿄올림픽이 동일본대지진으로부터 부흥을 제창했던 시기부터 도쿄에서 열리는 행사가 지방인 후쿠시마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애초부터 많은 의구심이 제기되었다. 마찬가지로 후쿠시마의 부흥 담론이 국가적인 전통과 역사, 내셔널리즘에 함몰되어 ‘지방’과 ‘지역’을 경시하고 있지 않은지 묻고 싶은 것이다. 더불어 후쿠시마가 인용한 고전 작품들에서는 국가적인 부흥이 아니라 ‘지방’과 ‘지역’의 부흥에 관해 어떤 입장을 지니고 있는지 조사했다. 왜냐하면 근대 국가가 출현하기 이전에 발생한 고전 문학에서는 오늘날과는 다른 관점에서 ‘재해’와 ‘부흥’을 설명해 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목차

1. 머리말
2. 부흥 문화론은 유효한가?
1) ‘고도’의 문학이라는 평가
2) 근세 ‘유민’ 내셔널리즘 신화에서 중국과 일본
3) 무상관의 함정인가 극복인가
3. 포스트 3·11 재난문학의 동향과 전망
4. 맺음말

저자정보

  • 배관문 BAE Kwan-mun. 원광대학교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