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단

동주 이용희의 분노와 ‘한국적’ 제왕의 탄생 : 민족주의 비판의 곡절과 근대비판의 착지점

원문정보

The Frustration of Lee Yong-hee and the Birth of ‘Korean’ Politics : A Study on his Criticism of Nationalism and Modernity

이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try to examine what the ‘Korean-ness’ is in international politics of Lee Yong- hee who is well-known as the founder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Korea. This question leads us to the consequential question about how he thought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because these two questions are linked together. He critical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through examining political thoughts in the modern Europe. Through reviewing the political thought of modern Europe, he opposed nationalists’ discourses. This seems to be common in his criticism of nationalism based on ethnicity in the early Cold War era; his criticism of nationalism based on resistance to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and his criticism of Korean study (kukhak). Paradoxically, his criticism of nationalism was not to criticize modernity itself, but toemphasize how Korea should pursue modernity properly. It was well illustrated that his criticism of nationalism has been concluded as another aspect of modernity and democracy. However, Lee Yong-hee not only pursued the modernity, but also criticized the modernity whilst moving on to post-modern issues. His criticism of modernity was reflected in his study on the multiracial nationalism in the early Cold War era and the federalism that led to regional integration of post-Cold War Europ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tried to clarify that his studies began with frustration as a colonized via his assessment on modernity, reaching a kind of postmodern thought. He made a postmodern conclusion by using Carl Schmitt’s federal theory including the imperialistic perspective, whereas avoiding hegemonic conclusions. Moreover, this shows characteristics of his Politics, which is a discipline for kings who run empires, and how it is connected to Korean historicity.

한국어

본고에서는 이용희의 국제정치학에서 ‘한국적’ 특성이란 무엇인지 물음을 실마리로, 그의 사상의 전개를 ‘근대’와 ‘탈근대’의 복합적인 사유방식에 유의하며 살펴보았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민족주의 비판’ 언설에 주목하여 그것이 역설적으로 ‘근대주의적’ 특성을 지닌 점을, 근대유럽의 정치사상에 대한 그의 이해를 토대로 밝혔다. 냉전 초기의 ‘단일민족주의’ 비판, 1960~1970년대 ‘저항민족주의’ 비판, 그 연장선상에서 논의된 ‘국학’에 대한 평가 모두에 공통된 특징은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강한 지향으로 나타났다. ‘대내적 인민주권’의 측면이 늘 한국이 민족국가로서 완결되는 길, 그러니까 한국의 ‘근대’를 생각할 때의 기준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용희의 사유는 본인의 말대로 늘 ‘현대 속의 근대’를 살았다. 이는 그의 언설이 결코 ‘근대’로만 끝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데,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용희에게 ‘탈근대’의 맥락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아울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그가 근대의 ‘모순’을 무엇으로 보았는지 이용희의 정치학이 지닌 ‘분노’의 원점으로 돌아가 확인한 후, 그것이 냉전 초기 ‘다민족주의 국가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탈냉전기 유럽의 지역통합을 놓고 논의된 ‘연방론’에 어떻게 연계되는지, E. H. 카를 시작으로 칼 슈미트로 이어지는 사상적 맥락과 함께 해명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근대의 밑바닥—식민지—에서 시작한 이용희의 국제정치학이 ‘제왕’의 학문으로서 도달한 지점이 어떻게 ‘한국적’ 역사성을 지녔는지 고찰했다.

목차

1. 들어가며: ‘한국적’이라는 물음
2. 이용희의 ‘분노’와 정치의 시작
3. 이용희의 ‘민족주의 비판’의 곡절
1) 근대 정치사상의 ‘세 맥락’과 단일민족주의
2) 단일민족주의 비판과 ‘지상주의’와의 간격
3) 저항민족주의 비판과 ‘민주주의’와의 관계
4) 저항적 ‘국학’의 위상과 근대성
4. 이용희의 ‘근대비판’의 착지점
1) 근대의 ‘모순’과 극복의 시작
2) 다민족주의국가의 기저와 ‘동원’이라는 계기
3) 탈냉전과 ‘연방’의 주권론
5. 나가며: 근대의 밑바닥에서 ‘제왕’ 되기

저자정보

  • 이경미 LEE Kyung Mi. 동북아역사재단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