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788년作 기림사 삼세불화의 성격과 봉안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place of 1788 <Girimsa Three states of existence Buddhist painting>

신현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祇林寺 三世佛畵)is currently enshrined in the Gyeongju Campus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and is a copy of it in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This Buddhist painting has a unique form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Buddhist paintings, and the top and bottom are separated and two paintings are drawn in one screen. The upper part depicts Sakyamuni Buddha(釋迦如 來), Amitabha Buddha(阿彌陀如來), and Bhaisajyaguru Buddha(藥師如來) in space, and the lower part is a painting of landscape painting with an epic plot. If the two paintings are divided into two screens, it can be thought that they were overlaid on posterity, but this Buddhist painting was produced for a special purpose because there was no sign of additional repairs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pictorial recor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bottom image of this Buddhist painting was based on the story of the founding of Girimsa, and this Buddhist painting is a special purpose to promote the history of the temple. Considering the unusual form of the two-stage composition and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this Buddhist painting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in the ‘Buddha Painting’(如來圖) of Space Three Buddha(三世佛),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in the category of ‘Sutra illustration transformation Painting.’(變相圖) through organic graphic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bout the suspension of the Daejeokgwangjeon Hall of Girimsa, where a copy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currently enshrined. This requires re-estimation, such as that there is no case of sealing the ‘Buddha Picture’ in the middium space and that it does not match the size of the currently enclosed wall at the bottom. Therefore, considering the historical records, other literature, and the context of the Buddhist painting, the original burial site of this Buddhist painting is presumed to be “Seongsujeon,”(聖壽殿) which can only be confirmed in the records, not the current plac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eongsujeon,”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enshrined based on glass dry plates of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hotographs of Girimsa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onfirmed.

한국어

본고에서 다루는 <기림사 삼세불화>는 현재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에 소장 및 전시되어 있으며, 모사본으로 기림사 대적광전 중단에 봉안되어 있다. 본 불화는 다른 불화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데, 상단과 하단을 구획하여 한 폭에 두 주제의 도상을 각각 도해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단은 석가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 로 구성된 ‘공간적 삼세불’ 도상이며, 하단은 이시동도법을 사용한 서사적 줄거리가 있는 ‘청록산수 인물 도상’으로 구성되었다. 한 화면에 별개의 두 도상이 도해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를 후대에 덧붙여 제작하였다 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불화 화기의 위치와 함께 처음부터 화면을 정확하게 구획을 나누고 있고, 이후 추가 보수의 흔적이 없어 두 도상은 특수한 목적으로 동시 제작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이에 필자는 본 불화의 하단도상이 기림사 ‘창건 연기설화’에 입각 해 도해 되었고, ‘창건 연기설화’를 토대로 당시 사찰의 ‘사세증진(寺勢增進)’을 위해 조성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 같은 해석은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시도되었다. 필자는 이에 덧붙여 상·하 2단 구도의 형식과 특별한 제작 목적으로 보아 두 가지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 다. 즉 본 불화는 조선후기에 유행한 공간적 삼세불을 표현한 ‘삼세불화(三世佛畵)’이면 서 상단과 하단도상의 유기적 해석을 통해 ‘변상도(變相圖)’라는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 필자가 본 논문에서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불화의 원 봉안처 문제였다. 현재 기림사 대적광전 중단에는 모사본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곳이 원 봉안처였는지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불전 내부 삼단 가운데 여래를 표현한 ‘삼세불화’가 중단에 봉안된 예를 현재로서 는 찾을 수 없고, 대적광전 중단과 하단에 봉안된 불화의 현황을 볼 때 봉안처에 재고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불화의 원 봉안처를 기림사 사적기, 문헌 자료, 불화의 화기, 20세기 초 사진 자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왕실의 안녕을 축원한 ‘성수전(聖壽殿)’으로 추정했다. 성수전은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20세기 초에 촬영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 유리건판 사진을 참조로 해 기림사 내 그 위치 를 확인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기림사 삼세불화>의 현황 및 화기 분석
Ⅲ. <기림사 삼세불화>의 성격과 창건 연기설화와의 관계
Ⅳ. <기림사 삼세불화>의 봉안처 추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현경 Shin, Hyun-Kyung.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