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선전기 전라도 광양 만수암 간행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서지 및 불교문헌학적 의의

원문정보

The Buddhist philological Significance of the Book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Seokgahaengjeoksong at Mansu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박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ansuam in Gwangyang published several Buddhist books along with Seokgahaengjeoksong in 1529, and the woodblock was enshrined in Seongbulsa Temple. Jeong-am moved from Songgwangsa to Gwangyang Baegunsan and founded Mansuam. Mansuam Editions consisted of 13 types of the 15 Buddhist books he brought. The Book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Seokgahaengjeoksong at Mansuam are kept at Korea University Library, Dankook University Library, Dongguk University Library, Japan’s Cheonri University Library, and UC Berkeley University’s Library. The scale and contents of the Book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Seokgahaengjeoksong at Mansuam were reviewed. Seokgahaengjeoksong has 17 pages, and Tongnok-chwalyo is 4 volumes, 5 chapters and 68 pages. Won-inlon contains the entire original text and consists of 13 pages. Jaegyemun was composed of articles such as Jeongto-simyo(淨土心 要), and the total number of pages was 18. Hyosunmun is an excerpt from Beob-won-Jurim, pages 1-8, and Gyesalsaengmun is 6 short paragraphs, 9-16 pages. Yeombul-jagbeob is a series of ceremonial texts following the procedures of the Western Pure Land liturgical rites, such as Chanbul, and 17-37 pages. Combining the current data, the Mansuam editions are 155 pages in 7 types. Seokgahaengjeoksong is the circulation of the biography of Sakyamuni compiled in Korea, and Tongnok-chwalyo is the only one at home and abroad that can know the contents of Chowon-Tongnok, which are currently unconfirmed. Won-inlon has Buddhist phil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publication in Korea since the records of the Gyojang-chonglog in the early Goryeo period. Most of Jaegyemun and Hyosunmun were taken at Beob-won-Jurim and are not new Buddhist texts. Gyesalsaengmun and Yeombuljakbeop contain short sentences of unknown origin, so a detailed review is required.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book is that it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Buddhist philology in that it is the emergence of the Buddhist book that collected data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한국어

조선전기 전라도 광양 백운산 만수암에서는 1529년에 『석가여래행적송』과 제종의 불서를 합간하였고, 그 목판은 성불사에 안치하였다. 이 만수암 개판 합간본은 정암이 송광사에서 광양 백운산 만수암으로 이석하면서 휴대한 15종의 불서 가운데 13종으로 성립되었다. 만수암간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은 고려대 도서관 2종, 신출의 『원인론』이 포함된 단국대 도서관, 개인 소장, 일본 천리대 도서관, 미국 UC 버클리대 도서관 소장본이 확인된다. 만수암 개판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규모와 내용을 살펴보면, 『석가여래행적송』은 원본의 송문을 중심으로 한 17장, 『통록촬요』는 4권 5품의 선종 전등사로 68장, 『원인론』은 원문 전체를 수록한 13장, 『재계문』은 「불설팔관재계비밀구생정토심요」등의 문류이며 19장, 『효순문』은 『법원주림』의 발췌이며 제1-8장, 『계살생문』은 「포 대화상계살송」 등 6편의 단문으로 제9-16장, 『염불작법』은 계청·찬불·참회·회향·발원 등 서방정토 염불 의례의 절차에 따른 여러 의례문이며 제17-37장이다. 현전 합간본을 종합하면 7종 155장이 확인된다. 만수암 개판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 가운데 『석가여래행적송』은 한국 찬술의 석가 전기를 재유통시켰고, 『통록촬요󰡕는 일서인 『조원통록』의 내용을 알 수 있는 국내외 유일본이다. 『원인론』은 고려전기 『교장총록』 기록 이후 처음으로 확인되는 간행본으로 불교문헌학적 의의가 크다. 『재계문』과 『효순문』은 대부분 『법원주림』에서 발췌한 것 으로 새로운 불교 문헌은 아니다. 기타 『계살생문』과 『염불작법』에는 전거를 알 수 없는 단문이 다수 수록되어있어 불교문헌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서가 갖는 불교문헌사적 의의로는 조선초기에 성립된 촬요본이라는 특징이 있고, 특히 『재계문』·『효순문』·『계살생문』·『염불작법』은 관련된 내용을 유별로 모은 유서적 성격의 불서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만수암간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종류 및 서지사항
Ⅲ. 만수암간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구성과 내용
Ⅳ. 만수암간 『석가여래행적송』 합간본의 불교문헌학적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진 Park, Yong-Jin.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