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Joy Expressions - Focus on metaphor and metonymy -

임형재, 송리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metonymy are essential mechanisms for expressing human emotions. Jo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motions of human beings, and it has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in the way it is understood through physiological reflection and specific objects. However, since the expression of joy reflects the cul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ressive effect. Due to these differences in expression methods for joy, it is difficul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translate expressions of joy into Korean natural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what is an appropriate translation method through Chinese-Korean literary translation. The study is intended to help the Chinese Korean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joy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reby helping them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and creating readable translated texts. In this study, a parallel corpus of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2 modern Chinese novels,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2009) and "To Live(活着)" (2007) was built. Furthermore, 500 metaphors and metonymous expressions with expressions of joy were selected from th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method of the translated version was analyzed.

한국어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는 인간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기제이다. 기쁨은 언어의 보편성을 가지면서도 기쁨표현이 해당 언어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개별성도 있다. 이러한 기쁨에 대한 표현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중국어권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한 문학번역을 통해 무엇이 적합한 번역방식인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한중 기쁨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시켜 해석적 닮음에 해당하는 번역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현대 소설 <微微一笑很倾城(미미의 미소는 아름답다)> (2009)와 <活着(인생)>(2007)의 중-한 번역본의 병렬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에서 기쁨표현을 가진 500개의 은유와 환유 표현을 선택하여, 번역본의 한국어 번역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두 소설에 나타난 중국어 기쁨표현의 개념화 양상을 통해, 중국어 기쁨표현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어 기쁨표현의 유형은 직접적인 감정 표현의 노출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환유 표현, 은유 표현의 순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신체반응을 가진 환유 표현에서 중국어가 신체의 세부적인 부분어를 사용한 경우,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신체 부위를 지시하는 전체어가 사용되고 있음도 살필 수 있었다. 한국어 번역문에 대한 번역 방법 분석에서는 직접 번역에 해당하는 직역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한 두 언어에서 공유하는 근원영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로 번역할 때 완전히 다른 신체 부위나 같은 신체 부위의 다른 반응으로 대체하는 양상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근원영역을 공유하는 은유 표현의 번역에서는 그대로 직역하거나, 수용성에 문제가 없는 경우 생략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이와는 달리 근원영역을 공유하지 않으면서 중국어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근원영역을 가진 기쁨표현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은유 표현의 경우 근원영역의 일치율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예비 번역사들의 훈련 내용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쁨표현의 연구와 번역
2.1. 한ㆍ중 기쁨표현의 연구
2.2. 적합성 이론에서 ‘해석적 닮음’
3. 기쁨표현의 개념화 양상과 번역
3.1. 출발텍스트의 개념화 양상
3.2. 한국어 번역 방법의 양상
4. 기쁨표현의 번역 방법 분석
4.1. 환유 표현에 대한 번역 방법 분석
4.2. 은유표현에 대한 번역 방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임형재 Lim, Hyung-Jae. 한국외국어대학교
  • 송리연 Song, Lijuan.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