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김지하와 안병무로부터 파생된 고정희 ‘살림’의식과 계보학적 접근

원문정보

A Genealogical Approach to Koh Jeong-hee's Consciousness of ‘Living’ Derived from Kim Ji-ha and Ahn Byoung-moo

염선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proposing the ‘living (called Salim)’ of Koh Jeong-hee (1948-1991) and reviewing the people revealed in her later poems,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how the popular consciousness of ‘living’ on Koh Jeong-hee is revealed in the final stage of her poems. It aims to find a significant point about the people as a monolithic integration with three keywords: people, women, and Christianity by avoid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analysis while examining the popular consciousness of ‘living’ that has not been submitted. In the 1980s, her focus on “Another Culture”, her activities for The Women’s Newspaper and poetic activities were read around the keywords and the situation in which she tried to monopolize her poetry in a feminist manner, resulting in her public consciousness not being read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e people’s consciousness of Koh Joeng-hee was born in Hae-nam, a Christian ground and the site of the people, and later changed to a landscape while studying Anh Byoung- moo and Seo Nam-dong of Hanshin University and the Korean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nd Han Wan-sang and Kim Ji-ha. Koh Jeong-hee’s ‘living’ consciousness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her teacher Anh Byoung-moo. The problem consciousness is shared in that the main spirit of Anh Byoung-moo’s household consciousness is based on Kim Ji-ha’s thoughts. Koh Jeong-hee examines Anh Byoung-moo’s Christian worldview and his ‘living’ consciousness, suggesting the direction to which the people will move, and discovers the chronic class order located inside the female people. In addition, Koh Jeong-hee identifies the spirit of living through Kim Ji-ha’s ‘Rice’ (Bob) and ‘Life Spirit’, and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female people and female literary people in parentheses. Through this, she moves forward with a bold attitude as a female literary person. The poetry works and traces of life shown in her latter years are the essence and essence of the spirit of living. Given that female people’s consciousness of Koh Jeong-hee was completed by reviewing ‘living’ and people’s consciousness of Kim Ji-ha, she reviewed Kim Ji-ha and Ahn Byoung-moo’s ‘living’ and people to see at what level they were adjacent and separated from theirs. Kim Ji-ha and Anh Byoung-moo’s life is explained by a Christian worldview, and she recalled that the history of death and killing was not an individual death event but a people’s event, and considered ‘living’ by saying that death became a seed and moved the people to the subject. Koh Jeong-hee reviewed Kim Ji-ha and Anh Byoung-moo to find the absence of female citizens in their people, and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immediate attitude of female citizens in addition to the actu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Therefore, looking at ‘living’ on the three steps of Kim Ji-ha, Anh Byoung-moo, and Koh Jeong-hee is to see how their ‘living’ consciousness embodies Koh Jeong-hee’s “people” and to integrate Koh Jung-hee’s Christianity, people, and women.

한국어

고정희(高靜熙, 1948~1991)의 ‘살림’ 정신을 제안하고 그의 후기 시에 드러난 민중을 검토함으로써, 고정희에게 ‘살림’이 끼친 민중 의식이 최종적인 심급에서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민중, 여성, 기독교 세 개의 키워 드를 중심으로 시 분석에 치우쳐 있던 종래 방식을 지양하고 세 개의 키워드를 통합하면서 동시에 여태 제출되지 않은 ‘살림’이 끼친 민중 의식을 살펴, 일원론적 통합체로서의 민중에 관한 유의미한 지점을 발견하고자 함이다. 1980년대 그가 주력한 <또 하나의 문화>나 󰡔여성신문󰡕 활동과 시적 활동이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읽히는 부분과 여성주의적으로 그의 시를 전유하려는 상황이 한 몫 거들 어 그의 민중 의식이 총체적 안목으로 읽히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고정희의 민중 의식은 기독교 텃밭이자 항쟁의 터인 해남에서 배태되었고 이후 한신대와 한국신학연구소의 안병무‧서남동과 한완상‧김지하를 사숙하면서 변주되어 전경 화되었다. 고정희의 ‘살림’ 의식은 스승 안병무에게서 직간접적으로 받은 영향이 크다. 그러나 안병무의 살림 의식 본령이 김지하의 사유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문제의식 을 공유하고 있다. 고정희는 안병무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그의 ‘살림’ 의식을 살펴 민중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고 여성 민중 내부에 자리한 고질적 계급 질서를 발견했다. 또한 고정희는 김지하의 밥과 생명 정신을 통해 살림의 정신을 파악하 고 괄호 안에 놓인 여성 민중과 여성 문학인의 현주소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그는 대자적 여성 민중과 여성 문학인으로 나아간다. 말년에 보여준 시적 결과물과 삶 의 자취는 살림 정신의 요체이자 정수다. 고정희의 여성 민중은 김지하의 ‘살림’과 민중 의식을 변증법적으로 검토하여 완성된 개념이라는 점에서, 고정희의 민중 의식을 살피기 위해 김지하와 안병무의 ‘살림’과 민중을 검토해 그들의 것과 어떤 층위에서 인접하고 분리되는지 살펴야 한다. 고정희는 김지하와 안병무의 살림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설명된다는 점, 죽음과 죽임의 역사가 개인의 죽음 사건이 아닌 민중의 사건임을 환기하며 죽음이 씨앗이 되어 민중을 대자적 주체로 나아가 게 했다며 ‘살림’을 검토했다. 고정희는 김지하와 안병무를 검토하여 그들의 민중 속에 여성 민중이 부재함을 발견해냈고 그것이 기실 사회‧정치적 맥락 외에도 여 성 민중의 즉자적 태도에 문제가 있었음을 찾아냈다. 그러므로 김지하·안병무·고 정희 세 층위에서 ‘살림’을 살피는 일은 그들의 ‘살림’ 의식이 고정희의 ‘민중’을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살피는 일이자 고정희의 기독교‧민중‧여성을 통합적 안목 으로 바라보는 작업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김지하의 밥과 ‘살림’ 정신
3. 안병무의 ‘살림’ 운동과 민중
4. 고정희의 ‘살림’과 민중 의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염선옥 Yeom, Sun-Ok. 서정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