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ython과 QGIS를 활용한 제주 올레길 이용객 행태분석 : 코로나19 전·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ehavior of Jeju Olle Trail Users Using Python and QGIS : Focusing on pre-and post-COVID-19 pandemic

정성훈, 양재동, 김미진, 김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urse usage behavior of Jeju Olle Trail users before and after COVID-19. To achieve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using Python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QGIS. 24,093 course-related text data and 9,409 location data, such as destination restaurant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most visited course was course 1 in text-mining, and course 7-1 in location data. In detail, the visitors showed a preference for outdoor activities, including visiting scenic spots and street markets, rather than indoor activities. Course 1, which was deriv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text, was found to be a behavior for the purpose of enjoying nature such as tourist attractions or landscape photos. Next, the 7-1 course, which had the highest frequency 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p, is a course where people can enjoy the natural scenery while walking lightly, and where accommodations (hotels, guesthouses, motels, etc.) and restaurants or exotic cafes are located. Comparing the usage behavior results between pre-and post-COVID-19, the restaurant name and guest house, which are indoor spaces,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pre-COVID-19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Jeju Olle Market', which allows people to eat outdoors and take away, has soared in the post-COVID-19 situation. Also, there was a noticeable change in the behavior of accommodation for 'Resort', where only a few people, such as family or friends, can sta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과 후 제주올레길 이용객의 행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ython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QGIS를 활용해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코스와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 24,093 개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음식점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텍스트 마이닝 결과 1코스에 가장 빈도가 높 게 도출되었고, 위치기반 데이터에서는 7-1코스가 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이는 제주올레길 이용객이 실 내 활동보다 야외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시장 같은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코스는 자연경관을 즐 길 수 있는 코스이고 7-1코스는 가볍게 걸으며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숙박시설(호텔, 게스트하우스, 모텔 등) 과 이색적 음식점과 카페 등이 있다.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면 코로나19 이전에는 실내 공간인 식 당명과 게스트하우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이후에는 야외에서 식음을 할 수 있고 포장까지 가 능한 제주올레시장의 빈도가 급증하였다. 또한 가족이나 친구 등 소수의 인원만 숙박을 할 수 있는 리조트를 선호하는 행태로 변화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제주올레길 연구 동향
2. 위치기반 활용 연구 동향
III. 연구방법
1. 데이터수집
2. 데이터 분석과정
IV. 결과 및 고찰
1. ‘코스’ 연관 키워드 분석 결과
2. 위치정보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정성훈 Jeong, Seong-Hoon.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연구원
  • 양재동 Yang, Jae-Dong. 경기대학교 관광경영학과 박사수료
  • 김미진 Kim, Mi-jin. 경기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석사수료
  • 김근현 Kim, Geun-Hyeon. 경기대학교 관광경영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