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7 국가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Elementary Technology Curriculum in G7 Countries

이동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in G7 countrie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that can be helpful in setting the direction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of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Japan, France, Germany, Italy, and Canada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could be found in all six countries except Japan. In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the countries presented as independent subjects were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Italy, and in other countries, subjects were presented as subjects combined with other contents. Second, in all countries except France, technology education was provided from 1st to 6th graders in Korea. In the case of France, technology education is covered in grades 4-6, but since the fields related to technology education are set with major topics for grades 1st to 3rd,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 is actually being conducted from grades 1st to 6th in all grades. there is. The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elementary technology education content in G7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sis so that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can be continued from the 1st to the 6th grade, and to continuously propose changes to th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setting a separate content standard so that Practical Arts can adapt to the diversity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한국어

이 연구는 G7국가들의 초등 기술교육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각국의 초등 기술교육 현황을 파악하 고 우리나라의 초등기술교육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의 초등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을 제외한 6개 국가에서 모두 초등 기술교육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다만 내용 제시 방 법에 있어서 독립된 교과로 제시된 국가는 미국, 영국, 이탈리아가 있었으며 나머지 나라들에서는 교육 내용들과 합쳐진 교과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프랑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우리나라의 1학년부터 6학년에 해당하는 연령까지 기술교육 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프랑스의 경우는 4~6학년에서 기술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으나 1~3학년에도 대 주제로 기술교육과 관련된 영역을 설정해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모든 학년에서 1~6학년까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G7 국가의 초등 기술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이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교육과 정의 변화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변화의 다양성에 실과교과가 적응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내용표준을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Ⅱ. G7 국가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1. 미국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2. 영국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3. 일본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4. 프랑스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5. 독일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6. 이탈리아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7. 캐나다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Ⅲ. G7 국가의 초등 기술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동원 Dongwon Lee. 부산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