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로 인한 성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 변화

원문정보

Changes in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ue to COVID-19

김도영, 김태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in social participation levels and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Methods : The change in social participation of 92 disabled people liv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was measu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quantified as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physical disabled. Results :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induced significant changes in overall social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nd economic life, family life, transport, civic life, and total health. A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overall quality of life, family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relativ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leisure activities, occupational and daily work, self-respect, and general life.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COVID-19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verall social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nd economic life, communication, transport, civic life, and total health. Conclusion : COVID-19 has decreased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and a low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is associated with a the lower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interventions that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re necessary.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성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삶의 질의 변화를 비교하고, 사회참여 점수 와 삶의 질 점수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지체장애인 92명을 대상으로 ICF 모델에 기반한 장애인 참여 척도를 사용하여 코로나-19 유행 1년 전과 1년 후의 사회참여 변화를 측정하였고, 성인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척도 를 사용하여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유행 1년 후에는 사회참여 점수(대인관계, 사회 및 경제생활, 가정생활, 이동, 시민생활, 총체적 건강)와 삶의 질(친구 및 대인관계, 가족 및 친척 관계, 신체 및 정신 건강, 여가활동, 직업 및 하루일과, 자아감 및 일반적인 삶)에서 대부분의 항목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코로나-19 유행 1년 전에 삶의 질 점수는 사회참여 점수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코로나-19 유행 1년 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코로나-19 유행의 결과로 사회참여 점수와 삶의 질 점수는 감소하였고, 사회참여 점수가 낮아질수록 삶의 질 점 수도 낮아지는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코로나-19로 감소된 성인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 참여를 증진하는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사회참여 변화
3.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삶의 질 변화
4.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사회참여 변화와 삶의 질 변화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eong. 동서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연구원
  • 김태훈 Kim, Tae-Hoon.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