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 of Time-use Intervention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for the elderly. Methods : From July 5 to September 17, 20 elderly people at the center for dementia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MOHOST) was used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ventory(SEI) was used for self-esteem.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5).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and the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5).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groups that conduc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wed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and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ime-use intervention had a greater effect.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ime-us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Thus, if research and supplementation of continuous time-use intervention is conducted, it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and improv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for the elderly's successful old age.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시간사용중재가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 였다. 연구방법 : 2021년 7월 5일부터 9월 17일까지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예방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프로그램과 함께 추가로 시간사용중재를 시행한 실험군 10명, 치매예방프로그램과 추가로 자가운동프로그 램을 시행한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1회 90분씩 주 2회, 총 8주간 중재를 실시하였다.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MOHOST)과 자아존 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를 각각 사용하였다. 결과 : 중재 전·후 집단 내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시간사용중재가 노인의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성공적인 노년기를 위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여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및 정서적 건강을 향상시킬 것이라 기대하며 지속적인 시간사용중재의 연구와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노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의미있는 작업참여의 기회가 확대되는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분석도구
3. 시간사용중재 프로그램
4. 연구 절차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중재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 동질성 검사
3. 중재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참여와자아존중감 변화 비교
4.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작업참여와 자아존중감 집단 간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