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

원문정보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Disabled on Daily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김은영, 이미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disabled affects daily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07 registered disabled people in the 5th Data of the Disabled Employment Panel (2019), and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 significan. Secon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positive(+) significance level. Thir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ce level. Fourth, the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daily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fficac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i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n their daily liv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5차 자료(2019)의 등록장애인 3,907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 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수준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 도 향상을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 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2.2 변수의 구성 및 측정도구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3 상관관계 분석
3.4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3.5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은영 Eun-Yeong Kim. 한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박사과정
  • 이미애 Mee-Ae Lee.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