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1755년 을해역옥과 이광명의 <북찬가>에 나타나는 유배 체험과 그 의미

원문정보

Eulhaeyeokok in 1755, the Exile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Lee Gwang-myeong’s “Bukchanga”

남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plor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the author’s consciousness orientation by targeting “Bukchanga,” a work by Lee Gwang-myeong, who was a literati of the Soron sect in the mid-18th century. A descendant of a radical Soron family, Lee Gwang-myeong was implicated in the Eulhaeoksa that took place in King Yeongjo’s 31st year (1755) and was sentenced to exile in Gapsan. Although he was neither the instigator nor a sympathizer, he was implicated when the law punishing treason was again pursued against his deceased uncle, Lee Jin-yu. I conduct a detailed reading of “Bukchanga” while noting Lee Gwang-myeong’s existential situatio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ime and space revealed in the work are analyzed, and attention is paid to the emotional response that the speaker is revealing through the exile experience. In this process, the author’s desperate longing and sorrow for his mother were seen to be related to moral practice that goes beyond simple emotions. In his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there was frustration and self-blame for not being able to meet the human duties he had as her child.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human beings cannot exist alone as an isolated being, free from kinship and social roles. Lee Gwang-myeong, who had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understood his identity in this relationship. Therefore, in the harsh survival conditions of the exile site, although the author could not realize his social self as a literatus, he yearned to restore the moral life he had kept from his retreat. Ultimately, this aspiration was to the moral principle of filial piety, which would be shared and sympathized with by the king, implemented in reality and in the work,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uthor is making an appeal to the virtuous king.

한국어

이 글에서는 18세기 중엽, 소론계 사대부였던 이광명 소작 <북찬가>를 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구조적 특징과 작자의 의식 지향을 탐색해 보았다. 급진전인 소론 가문의 후손이었던 이광명은 영조 31년, 1755년에 일어났던 을해옥사에 연루되어 갑산으로 유배형을 당했다. 그는 이 옥사의 주동자도 동조자도 아니었지만, 이미 고인이 되어 있었던 백부 이진유에게 역률이 다시 추시되자 연좌되었던 것이다. 논의 과정에서는 이광명의 이러한 실존적 상황을 주목하면서 <북찬가>에 대한 상세한 독해를 시도하였다. 작품 속에 드러난 시공간의 특징적 측면을 분석하고, 화자가 유배 체험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정서적 반응에 주목했다. 이 과정에서 작자가 절실하게 드러낸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서는 도덕적인 실천과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았다. 유배 생활 속에서 모친과의 관계가 훼손되었기에 자식으로서 행해야만 하는 인륜을 지킬 수 없다는 좌절과 자책이 있었다. 유가에서 사람은 혈연적 연관과 사회적 역할에서 벗어나서 고립된 존재로 홀로 존재할 수는 없다고 본다. 유가적 가치관이 내면화되어 있었던 이광명의 경우에도 자신의 정체성을 이러한 관계 속에서 파악했다. 그러므로 험악한 유배지의 생존 조건 속에서 작자는 비록 사대부로서 사회적 자아를 실현할 수는 없었지만, 은거 시에서부터 지켜 온 도덕적 삶을 회복하길 염원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염원은 왕과 작자가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효의 도덕 원칙이 현실 속에서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었고 작품 속에서 작자는 이점을 성왕에게 호소했다고 파악했다.

목차

<국문개요>
1. 머리말
2. 1755년 을해역옥과 가문의 비극
3. 작품의 구조적 특징과 유배 체험의 형상화
3.1. 생애 주기 속 계기적 사건으로서의 유배
3.2. 사람다움과 사친(事親)의 정서
4. 군은(君恩)의 자장 안에서 효의 실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정희 Nam, Jeong-hee.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