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변산반도국립공원 꽝꽝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원문정보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ex crenata commun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김하송, 조영준, 이지희, 오도일, 명현호, 이정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preserve and restore the habitats of Ilex crenata community distributed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ra and major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centered on the community distribution area. A total of 36 taxa with 22 families, 21 genera, 32 species, and 4 vari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vicinity of the Ilex crenata community. At close distances centered on the area around the Ilex crenata community, the vegetation was found to be a mountain coniferous forest called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35° 39′ 18.62″ north latitude, 126° 34′ 56.70 east longitude), at an elevation of 85m to 95m above sea level, an inclination of 10° to 15°, and clustered around the south and southwest slopes. In the Tree-1 layer, there ar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and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In the Tree-2 layer, there are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Styrax japonicu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Shrub layer, there are Ilex cren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sieboldiana, Smilax china, Lindera obtusiloba, Fraxinus rhynchophyll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Lindera glauca, Juniperus rigida var. rigida. In the past, before the Buam Dam was built, the surrounding area was a rice paddy field and farmland, but after the Buam Dam was completed, due to changes in the climatic environment, such as fog and humidity, which occurred around the Buan Dam, It is predicted th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in the community will appear as the blooming of Quercus serrata increases in the Tree-1 layer and Tree-2 layer, as Fraxinus sieboldiana, Fraxinus rhynchophylla, Lindera obtusiloba, etc. appear in the shrub layer, and Sasa borealis, Indigofera kirilowii, Carex lanceolata, and Fraxinus sieboldiana, etc. appear in the herb layer. The distribution area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measured to be 384㎡, the height of Ilex crenata was in the range of 2.2 to 2.5m, and the diameter of the rhizome of Ilex crenata community was Ø48.5mm+39.4mm+46.9mm+37.3mm, It is considered to be in good growth condition due to the stabl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the colony area. In addition, as it is expected that Ilex crenata community will gradually spread as a constituent species of the shrub layer and the herbaceous layer in the pine and Ilex crenata community communities near the native habitats of the black oak community,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se areas and monitoring for continuou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한국어

변산반도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꽝꽝나무군락 서식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하여 군락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과 주요 식생에 대한 생태 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꽝꽝나무군락 주변에서 총 22과 21속 32종 4변종 총 3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꽝꽝나무군락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근접거리에서 식생은 산지침엽수림인 소나무-졸참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으로 나타났으며(북위 35° 39′ 18.62″, 동경 126° 34′ 56.70), 해발고도 85m~95m, 경사도 10°~15°, 남사면과 남서사면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목층 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등이,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 굴참나무, 잔털벚나무, 때죽나무, 당단풍 등이, 관목층에서 는 꽝꽝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쇠물푸레, 청미래덩굴, 생강나무, 물푸레나무, 철쭉, 감태나무, 노간주나무 등이 나타났다. 변산반도 꽝꽝나무 군락 자생지역은 과거에 부암댐이 조성되기 전에는 주변이 논, 밭 경작지였지만, 부암댐이 완공된 후, 부안댐 주변에서 발생한 안개와 습도와 같은 기후환경 변화로 인하여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주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 피도가 증가되고, 관목층에서 쇠물푸레, 물푸레나 무, 생강나무 등이, 초본층에서 조릿대, 땅비싸리, 그늘사초, 쇠물푸레 등이 출현하면서 군락내의 종구성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꽝꽝나무군락의 분포면적 384㎡으로 측정되었고, 꽝꽝나무 수고는 2.2~2.5m 범위에 속하며, 꽝꽝나무 성목의 뿌리 줄기부분의 직경은 Ø48.5㎜+39.4㎜+46.9㎜+37.3㎜으로서 꽝꽝나무군락 지역의 안정적인 관리 및 보호로 인하여 양호한 생육상태로 생각된다. 또한 꽝꽝나 무군락 자생지 주변의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관목층과 초본층의 구성종으로 꽝꽝나무가 점점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이들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와 지속적인 보존과 복원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조사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및 기간
2. 조사방법
결과 및 고찰
1. 꽝꽝나무군락지 주변 관속식물상
2. 꽝꽝나무군락지 식생
3.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생육 특성
4. 꽝꽝나무군락 자생지 생육 변화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하송 Ha-Sing Kim. 고구려대학교 남도생태연구소
  • 조영준 Yeong-Jun Cho. 신안군청 세계유산과
  • 이지희 Ji-Hee Lee.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 오도일 Do-Il Oh.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 명현호 Hyun-Ho Myeong.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이정윤 Jung-Yun Lee. 생태공간정보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