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고려시대 화폐 주조의 시원에 대한 역사성 탐색

원문정보

A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Currency Casting in the Goryeo Dynasty

김도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irst currency in Korea, the iron coin(철전), was first created in April of the 15th year of King Seongjong (996). Seongjong started preparations for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by opening a state-run pub in October 983. And in 991, Samsa(삼사), the price control department, which was affected by Sung Empire(宋) was installed. And in 993, Sangpyeongchang(상평창) was also install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purpose of price control, currency distribution. In other words, Seongjong prepared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from the following year of the accession, opened a store so that it could be used in the market, installed Samsa and Sangpyeongchang where money could be exchanged. Meanwhile, the copper coin was first cast in December of King Sukjong's second year(1097), when the coins circulated were also the first. Since then, there has been opposition from the newcomers such as Kwak Sang, but Sukjong has steadily promoted the distribution of coins. In the same as King Seonjong, Sukjong also set up a pub in Kaesong and took measures to make the people use money. In addition, he distributed money to his servants and soldiers, and he also told it to his ancestry. However, the attempts and efforts of Seongjong and Sukjong did not shine. Mokjong, the successor of the Seongjong distributed a letter that completely retreated the distribution of iron coin, Yejong, who succeeded Sukjong, showed his willingness to push forward the copper coin distribution, but distribution in the market was not active. So why did iron and copper coins not actively distribute? In the Goryeo period, the value of iron was not enough to have credit as money. And so did copper. And in Sung, coins were actively circulated and the value of copper rose. For this reason,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the value of copper was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coin, and the coin was melted. In this situation, Goryeo is believed to have seen financial profits by agreeing to export to Sung. Many countries in China, where metal currencies were actively distributed, also distributed goods currency(물품화폐) with metal currencies.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metal currencies is not based on the disposal of goods currencies. In other words, metal and goods currencies could coexist. Although the Goryeo period did not actively distribute iron and copper coins, it is significant that these metal coins were first minted and distributed. Iron and copper coin in the Goryeo period is meaningful enough as a beginning.

한국어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인 철전은 성종 15년(996) 4월에 처음 만들어졌다. 성종 은 동왕 2년(983) 10월에 관영 주점을 개설하는 것으로 철전 유통의 사전 준비를 시작했다. 또한 동왕 10년(991)에는 宋의 영향을 받아 물가조절 기관인 삼사도 설치된 것으로 파악된다. 동왕 12년(993)에는 상평창도 설치되었는데, 이 또한 물가 조절, 화폐 유통의 목적과 연관이 있었다. 즉, 성종은 즉위 다음 해부터 철 전의 유통을 준비하여, 실제로 시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점포를 개설하고, 물가 조절기관인 삼사도 만들고, 화폐가 교환될 수 있는 상평창도 설치하여 철전 유통 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동왕 15년에 철전을 주조하여 유통했던 것이다. 한편 동전의 주조는 숙종 2년(1097) 12월에 처음 실시되었다. 이때 유통된 동 전도 최초의 것이었다. 이후 곽상 등 신료들의 반대가 있었지만, 숙종은 꾸준히 동전의 유통을 추진하였다. 숙종도 성종처럼 동왕 7년에는 개성에 酒務, 즉 술집 을 차리고 백성들로 하여금 화폐를 사용하게 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무백관과 군인 등에게 화폐를 나누어 주기도 하고, 太廟와 八陵에 이를 고하기 도 하였다. 성종대에 비해 더 차근히 준비하고 구체적 실행을 하였다고 할 수 있 다. 동왕 9년 7월에는 지금 서울지역인 남경에 행차하여 남경에도 주·식점 등의 점포를 열고 관전을 하사하는 등 지방에서의 동전 유통도 독려했다. 하지만 성종과 숙종의 시도, 노력은 빛을 발하지 못하였다. 성종의 뒤를 이은 목종은 철전의 유통을 완전히 후퇴하는 교서를 반포했고, 숙종의 뒤를 이은 예종 은 동전 유통책을 강행하고자하는 의지를 보이지만, 시장에서의 유통은 활발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철전과 동전이 활발히 유통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철과 동의 소재가치부터 고려해야 한다. 금속화폐의 출발 시기에는 사용자층의 신용을 얻기 위해 충분한 소재가치가 있는 물품으로 화폐를 주조해야 한다. 하지 만 고려시대에는 이미 철의 소재가치가 화폐로서의 신용을 갖기에는 부족했다. 이는 동도 마찬가지였다. 고려에서는 동이 많이 생산되었다. 이로 인해 그 가치 가 높지 않았다. 이 때문에 철전과 동전을 사용해야하는 사람들의 신용을 얻지 못해 시장에서는 여전히 물품화폐가 유통되었고, 철전과 동전은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 이뿐 아니라 이웃나라인 송에서는 동전이 활발하게 유통되며 동의 가치가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동전의 가치보다 오히려 동의 가치가 높아지 는 상황이 발생해 동전을 녹이는 일까지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고려 조정에서는 동의 가치가 등귀한 송에 동의 수출하며 재정적 이익을 본 것으로 짐작된다. 금속화폐가 활발하게 유통되었던 중국의 여러 나라들 또한 금속화폐와 함께 물품화폐가 같이 유통되었다. 이는 금속화폐의 유통이 물품화폐의 폐기를 기반 으로 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즉 금속화폐의 주조와 유통, 시장에서의 물품 화폐의 유통은 공존할 수도 있는 일이었다. 고려시대는 비록 철전과 동전이 활발 히 유통되지는 않았지만, 처음으로 이들 금속화폐가 주조되고 유통되었다는 것만 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 철전과 동전의 주조 경험은 후대에 국가가 주조하고 유 통하는 화폐를 사용하는 경험을 주었고, 이를 발판으로 또다른 화폐가 등장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의 철전과 동전 주조는 그 시작으로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최초의 금속화폐 철전의 등장
3. 동전 유통의 시작
4. 철전과 동전 유통 실패의 역사성 탐색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도연 Kim, Doyeon. 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