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reservedness, introversion and restraint contained in Zen aesthetics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shaping the ethos of Korean and Chinese art. It can be said that the confucian aesthetics is the beginning and starting point of oriental aesthetics, and Zen aesthetics is the symbol of oriental aesthetics going to mature. Animation creation is often connected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ountry. South Korea and China, separated only by a narrow strip of water, have intricately interlinked cultures. Oseam won the top award in the feature film competition unit at the Annecy International Animated Film Festival in 2004. Firstly, it discuss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Zen Buddhism in visual art expression. Secondly, the cultural value of Zen Buddhism reflected in the Korean and Chinese animations, and the analysis and study of the manifestations of Zen mood creation in animation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 manifestations of animation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mptiness and enlightenment of Zen aesthetics and the audio-visual language by taking into account Oseam and Feelings of Mountains and Waters. Lastly, the certain significance of the carrier of animation to the realization of the inheritance and promotion of Zen culture, the exploration of the contemporary value of Oriental culture in the global discourse system,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ental cultural discourse system, the enhancement of the cultural confidence of the nation, and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ulture to modernity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re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theories of literature and art in East Asia.
한국어
유교 미학은 동양 미학의 시작과 출발점이고, 선종 미학은 동양 미학의 발전에 대한 상징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애니메이션 작품 <오세암>과 중국 애니메이션 작품 <산수정>은 각각 한중 양국 애니메이션 영화 예술 창작의 대표적인 작품이며, 이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시각 언어로 선종의 의경을 표현하였다. <오세암>은 2004년 프랑스 안시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장편 경쟁 부문에서 대상을 받았고, <산수정>은 중국의 수묵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몬트리올국제영화제 단편상 등 다수의 상을 받은 작품이다. <산수정>은 세계 사람들로부터 중국 수묵 애니메이션의 최고 수준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실제로 2006년 프랑스 안시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중국 작품으로 유일하게 ‘애니메이션의 20세기 100대 작품’에 선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시각 예술 표현에서 선종(禪宗)이 지닌 미학적 특징을 탐구하였다. 둘째, 한중 애니메이션에서 선종이 구현하는 문화 가치에 대해 <오세암>과 <산수정>을 대상으로 선종 미학의 공(空)과 오(悟) 관념, 그리고 시청 언어 관점에 따라 애니메이션에서 선종의 경지에 대한 창작 표현 형식과 한중 애니메이션 창작 표현 형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이라는 운반체를 통해 실현된 선종 문화 계승과 발전, 그리고 세계 담론 체계에서 동양 문화의 현대적 가치를 발굴하여 동양 문화의 담론 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민족 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강화하고, 동아시아 문화예술 창작과 이론 구축에 전통문화와 현대적 전환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배경 및 선행 연구
1.3. 연구 문제
1.4.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Ⅱ. 본론
2.1. 한중(韓中)의 선에 대한 기원과 발전 및 선종 미학
2.2. <오세암>과 <산수정>에서 선(禪)의 창작 방법
2.3. 선종 애니메이션 <오세암>과 <산수정>의 시청 표현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