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생산요소 가격의 변화와 드라마 제작시장의 진화

원문정보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ice of Production Factors due to Changes in the Drama Production Market

노동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major staff (production, filming, lighting, editing, recording) and changes in element prices. We analyzed the production cost data for each of the three mini-series aired or started production in 2014 and 2021 at 7-year intervals from 2007.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production experts. In conclusion, the number of major staff members and factor price are showing an increasing trend. These results were attributed to the production method centered on outdoor shoo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52-hour workweek, and the digitalization of broadcasting. A notable result is also observed in the trend of rising labor costs. Compared to the creative jobs such as lighting, cinematography, and editorial supervision, the rate of increase in factor price for technical or labor staff is high. Although the factor price is determined by differences in competency or career, it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drama production market where it is difficult to find labor workers. Production cost and element price show the seesaw effect. Therefore,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and an increase in labor cost interact. In the global OTT market, which has already entered a zero-sum situation, the domestic drama market, which has to play a chicken game with a global OTT platform, is polarizing. The polarization of the market based on the size of drama production costs promotes the concentration of key staff as well as A-list core production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is negative feedback situation are serious. Unless it is possible to secu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reate operators that can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it is difficult for TV operators to secure competitiveness.

한국어

본 연구는 주요 스태프(제작, 촬영, 조명, 편집, 동시녹음)의 구성과 요소가격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7년 간격으로 2014년, 2021년에 방영되거나 제작이 시작된 미니시리즈 각 3 편의 제작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7명의 제작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론 적으로, 주요 스태프 구성 인원과 인건비는 증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야외촬영 위주 제 작방식,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방송의 디지털화가 원인이다. 인건비 상승 추이에서도 주목할만한 결과 가 발견되었다. 창작직인 조명, 촬영, 편집 감독과 비교하여, 기술직이나 노무직에 해당하는 스태프의 인 건비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역량이나 경력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요소가격이지만, 노무직 종사자를 구하기 어려운 드라마 제작시장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제작비와 요소가격은 시 소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작비와 인건비의 상승은 상호작용 관계에 있다. 이미 제로섬 상황에 진입 한 글로벌 OTT 시장에서 글로벌 OTT 플랫폼과 치킨 게임을 해야 하는 국내 드라마 시장은 양극화되고 있다. 드라마 제작비 규모를 기준으로 한 시장의 양극화는 A급 핵심생산요소는 물론 주요 스태프의 쏠림 현상을 촉진한다. 이러한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 상황은 심각한 함의를 내재한다. 지적재산 권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이 가능한 사업자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한, 방송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국내 드라마 편성사업자들의 경쟁력 확보는 요원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작 스태프 내의 직급(예를 들어 창작자, 기술자, 단순노동 등)에 따른 생산요소 특성과 가격 변화의 차이를 분석에 반영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2.1. A급 핵심생산요소 가격 결정 요인
2.2. 제작 스태프 생산요소 가격에 대한 논의들
Ⅲ. 연구 문제 및 방법론
Ⅳ. 연구 결과
4.1. 주요 스태프 구성의 세분화와 가격 상승
4.2. 역량의 차이와 희소성의 가치
4.3. 제작비 상승과 요소가격 상승의 시소효과(seesaw effect)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동렬 Roh, Dong-Ryul.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Sungshin Womens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