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기 콘텐츠 분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영화에서 나타나는 반사성 이미지를 통한 욕망의 시각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esire through Reflective Images in the Films of Bernardo Bertolucci

박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irector Bernardo Bertolucci visualizes the deficient and repressed desires, and the fulfilment and expression of desires through the characters in his film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overall works of Bertolucci, to examine the themes and images that are commonly visualized in his works, and discussed how the signifier, fulfilment, and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repressed and deficient desires are completed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the signifier and how they are visualized in his films. Accordingly, the author divided Bertolucci’s films into early, middle, and later stag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direction and changes in his interest in cinematic themes and materials. Among his representative works, the analysis focused on his early works and , his middle works and , and his later work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penetrating through numerous of his early to later works are the visualization of the deficiency of repressed desires inherent in the unconsciou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the expression of those desires and the confusion of subjectivity, the drift between ignoring and facing the truth, the incestuous sexual impulse, and an Oedipus complex. Although these suppressed and deficient desires are expressed through the dialogue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they are also symbolically revealed and visualized by mise-en-scène through leitmotif, which are images that are repeatedly presented to symbolize the themes in films. In particular, the image commonly used in his works is the image reflected in the mirror, that is, the reflective imag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reflective image of a mirror has a common meaning throughout his work, but it may have double or contradictory meanings depending on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themes of the signified, the fulfilment and expression of the lacking desires, and the completion of subjectivity, which Bertolucci continuously intends to convey through the characters throughout his works, are visualized through the signifier; the mirror and reflective images.

한국어

이 연구는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이 자신의 영화 속 인물들의 결핍 및 억압된 욕망 그리고 욕망의 충족과 표출을 어떠한 방식으로 시각화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두 작품에 국한된 분석이 아닌 베르톨루치의 작품 전반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공통적으로 시각화하고 있는 주제와 이미지를 살펴보고, 영화 속 인물들의 억압되고 결핍된 욕망의 충족과 표출이라는 기의를 어떠한 기표의 의미작용을 통해 완성하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시각화하는지를 논한다. 이에 필자는 베르톨루치의 영화를 연출 시기와 영화적 주제와 소재에 대한 감독의 관심 변화에 따라 초, 중, 후기로 구분하고 그의 대표작 중 초기의 작품에서는 <순응자(1970)>와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1972)>, 중기의 작품에서는 <마지막 황제(1987)>와 <리틀 부다(1993)>, 후기의 작품에서는 <몽상가들(2003)>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초기 작품에서부터 후기 작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작품에 걸쳐 관통하고 있는 특징은 영화 속 인물들의 무의식에 내재하고 있는 억압된 욕망의 결핍과 그 욕망의 표출 및 자아 주체성의 혼란, 진실에 대한 외면과 직시 그리고 근친상간적인 성적 충동 사이에서의 표류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시각화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억압되고 결핍된 욕망의 표출은 등장인물들의 대사나 행동을 통해서 표현되기도 하지만 영화에서 주제를 표상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이미지인 라이트모티프를 통해 미장센 함으로 써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시각화하기도 한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이미지는 바로 거울에 비친 이미지, 즉 반사성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거울의 반사성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는 작품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함의를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작품에 따라서 이중적이거나 상반되는 의미를 내포하기 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르톨루치 감독이 꾸준하게 작품 전반에 걸쳐 극 중 인물들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인 결핍 된 욕망의 충족 및 표출과 주체성의 완성이라는 기의를 거울과 반사성 이미지라고 하는 기표를 통해 시각화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영화 속 등장인물의 결핍과 욕망의 갈등
2.1. 자아 주체성과 정체성의 인식 및 혼란과 분열
2.2. 무의식적 욕망의 억압과 결핍 및 표출
2.3. 진실에 대한 직시와 외면
2.4. 소통과 단절 그리고 동일시
2.5. 환상 및 과거 회귀로의 통로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환 Park, Seong-Hwan.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제작학과 박사수료 (Dongguk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