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사부리성의 변천과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Gosaburiseong Fortress

황호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osaburiseong fortress connoted in its location and form by reviewing them based on the excavation outcomes of the fortress and set its transition process. Gosaburiseong fortress was reported as an Eupseong in Joseon, but ongoing excavation results reported that it was Jungbangseong, a mountain fortress of Baekje. Rampart was examined by the sec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The results show that its outer ramparts were built of neatly trimmed stone in the ‘品’ shape. The Graengi technique was used which aligned the sides of stone materials, which were piled up 3~5cm inwar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Artifacts excavated in the fortress display patterns of the former part of the seventh century. Gosaburiseong fortress continued to serve even after it fell under the attack of Silla and unified into Silla. Right after unification, Baekje people made use of the mountain fortress in the movement process of Baekje's revival. Roof tiles of line, lattice, and no patterns along with "Bonpigwan" Stamped roof tiles were made between right after unification and the fall of Unified Silla. Entering Goryeo, the mountain fortress started to leave traces of an earthen fortress in the upper section of rampart. Earthen fortresses were equipped with Bakseok stone surface facilities. As it was reconstructed into an Eupseong in Joseon, its outer ramparts and upper parts were gon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examine the patterns in details. Since then, it was reconstructed and used as an Eupseong throughout Jose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정읍 고사부리성의 입지와 형태가 내포하고 있는 성격을 파악하 고,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축조기법과 출토 유물을 검토하여 시기별 변천과정과 성 격을 살펴보았다. 고사부리성의 입지는 가시권분석을 통해 보고자 하였다. 고사부리성의 시계는 서쪽으로는 고부천과 평야지대를 조망하고, 동쪽으로는 전북 동부지방에서 서쪽으 로 올라오는 교통로를 조망하고 있다. 가시권이 미치지 못하는 북동쪽, 남동쪽은 두승산성과 금사동토성이 보완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사부리성의 형태는 마안봉형 산성의 성격을 가진 테뫼식 산성으로 구분하는게 적절해 보인다. 마안봉형 산성은 내부 평탄지의 확보에 유리하고, 곡부의 수자원을 이용할수 있기 때문에 백제때의 중방성과 조선시대의 읍성의 기능에 부합한다. 고사부리성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이후의 세단계로 구분된다. 삼국시대 산성의 외성벽은 정연하게 다듬은 석재를 이용하여 ‘品’자형으로 성벽 을 축조하였다. 그리고 석재간 면을 맞춘 그랭이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3~5cm 내외로 들여쌓아 축조하였다. 내성벽은 장방형 의 할석으로 축조하였다. 출토 유물은 승문 기와, ‘上部上巷’명 기와, 단경병, 삼족 기, 호 등이 확인된다. 유물은 대체적으로 7세기 전반의 양상을 나타낸다. 이후 통일신라시대에는 통일 직후 백제 부흥운동과정에서 산성이 사용되는데, 산성을 점유한 세력이 체성부를 개축하고 수구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수구 설치 와 함께 외성벽의 보축시설 설치와 개축이 흔적이 확인된다. 출토 유물인 선문, 격 자문, 무문 기와, ‘本彼官’명 기와 등은 통일 직후부터 통일신라가 멸망할때까지의 유물로 확인된다. 고려시대가 되면서 체성부의 상부에서 토성의 흔적이 확인된다. 토성은 박석시 설과 함께 확인되지만 조선시대에 읍성으로 개축되면서 외성벽과 상층부가 사라져 자세한 양상은 확인할 수 없다. 이후, 조선시대에 개축되어 읍성으로 이용된다. 문 헌기록, 축조기법과 성벽의 높이, 너비 등을 고려하면 1443년 이후 개축되었고, 1451년 이후 다시 한번 퇴축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입지와 형식
3. 축조기법과 출토유물 검토
4. 변천과정과 성격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호식 Hwang, Ho-sik. (재)고고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