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움라우트(Umlaut)
2. 한국어 움라우트의 피동화주 선호도
3. 기존 접근의 설명적 한계
4. 제안 : &quat;더 깊은&quat; 조음적 이해 - 모음 조음에 사용되는 혀 근육
5. 결론
2. 한국어 움라우트의 피동화주 선호도
3. 기존 접근의 설명적 한계
4. 제안 : &quat;더 깊은&quat; 조음적 이해 - 모음 조음에 사용되는 혀 근육
5. 결론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