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거주 고려인 아동의 정체성과 어울림 양상 : 충남 A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Identities and Peer Relations of Koryeoin Children : Focusing on A Elementary School in Chungnam

홍정민, 장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growing population of Koryeoin in Korea, research on this ethnic group’s international migration has also increased thus far. However, a majority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adult Koryeoins, whil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young children, who are possibly experiencing tremendous cultural and linguistic challenges through involuntary migration. This study thus aims to investigate Koryeoin children’s ethnic identity and peer relation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ir daily lif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ir perceptions of self and socializing with peers are interrelated. Adopting an ethnographic-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study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nam, which was one of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of Koryeoin. The student participants were n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1 and 15, and data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prolonged observation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of individual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individual Koryeoin children tended to form idiosyncratic, multi-layered identities depending on the factors such as language proficiency,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emotional ties with others. In terms of socializing, Koryeoin children formed relationships with Koryeoin peers for emotional solidarity and adaptation to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migration; while they formed relationships with Korean peers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or to explore their own ethnic identity. Highlighting the Koryeoin children’s multilingual ability and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chools and society should provide proper and systematic support for this group of students.

한국어

이 연구는 고려인 밀집지역에 위치한 충남 A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문화기술지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고려인 아동의 정체성과 어울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간 국제이주 관련 연구는 성인을 중심으로 주로 수행되었고, 고려인 대상 연구의 경우 고려인 아동의 생활 경험을 담아낸 아동 중심 연구는 그 수가 많지 않다. 이에 이 연구 는 국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려인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그들 자신에 대한 인식과 또래 관계에서의 어울림 양상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고려인 아동의 적응과 성장을 위해 적절한 다문화교육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 과, 고려인 아동은 크게 언어역량, 차별 경험, 정서적 유대관계 등의 요인에 따라 다층 적이고 개별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울림의 관점에서는, 고려인 출신 아동과는 이주 초기에 적응을 위한 도움을 주고받거나, 정서적 지지 관계를 주로 형성하였고, 한국인 아동과는 정보 및 지식의 습득, 자기 탐색을 위한 관계를 주로 형성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국내 고려인 아동의 다층적 정체성의 형성과정과 이 중언어역량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이들이 한국 사회와 학교에서 ‘주체’로 바로 설 수 있 도록 돕기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려인의 이주
2. 이주 배경 아동의 정체성
Ⅲ. 연구 방법
1. 문화기술지 사례 연구
2. 연구 장소 및 참여자
3.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본론
1. 이주: 준비되지 않은 이주, 준비되지 않은 나를 마주하다
2. 조우: 선택할 수 없는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다
3. 부여된 정체성과 어울림: 위치 지어지는 나, 연결되지 못하는 나
4. 구현하는 정체성과 어울림: 위치를 ‘찾는’ 나, ‘연결하는’ 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정민 Jeong-Min Hong. 아산남성초등학교 교사
  • 장은영 Eun-Young Jang.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