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to clarify the type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folklore drums, where there is little confusion i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he drum, due to the sparse literature data and poor research results, through mutual comparison of related icons, photos, and relics. First, I presented terms and concept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name, form, and production of folklore books that are currently used in boo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research reports, and dictionary-type manuscripts. And based on this, we compared the shape of the drum, the instrument and the playing posture by using the related icon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enre paintings and paintings of Kim Jun-geun produced from the end of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photographic materials, and relics as the study subject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xing the leather of the drum head, folk drums were largely divided into type 1, type 2, and nailed drum(mot-buk). The first type of String drum(jul-buk) is finished by connecting it with a leather cord or string, and the second type is a string with a wedge added to it. The wedge-studded drum(ssawegi-buk) can be seen as a kind of evolutionary type with a reinforced leather tightening function compared to the cord book. Since only the type 1 string drum was visible on the iconography, and the wedge-studded drum was confirmed in photos and relic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origin can be estimated to be before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se two types in existing studies should be corrected. This is because, in the category of string drum, it is classified into type 1 and type 2, or the wedge-studded drum, which is currently used in producers and distribution processes, i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when dividing into ‘unpainted drum(baekbuk)’ and ‘painted and patterned drum(dancheong buk)’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oring and patterns, there were many forms of ‘nail durm+ ainted and patterned drum’. Able to know. As for the use of folklore drums,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concept of exclusive use of each type, except that the drums of the blind fortune tellers (pansu) were mainly ‘Julbuk’ in folk religious ceremonies. It is confirmed that the drums owned by a region or group were shared for various purposes, unlike the royal traditional drums, which maintain the standardized form and standard for each type. In general, there was a perception that string drums were mainly used in ‘farmers band music(nongak)’, and nail drums were exclusively for pansori.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press an opinion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pinion. The form of ‘nail-durm+ painted and patterned drum’. was used in many examples not only for pansori, but also for shaman ceremonies and farmers band music. Therefore, the general practice of classifying folklore drums for use should be reconsidered, and it is of the opinion that it is desirable to approach the classification in terms of form.
한국어
본고는 문헌자료가 희박하고 관련 연구 성과도 저조하여, 북의 개념과 정의에 혼선이 적지 않은 민간전 승 북에 대하여 관련 도상 및 사진, 실물 자료의 상호 비교를 통해 유형과 용도, 특징을 밝힌 연구다. 북 제작 및 유통과정, 조사보고서, 사전류 원고 등에서 통용되고 있는 민간전승 북의 명칭과 형태, 제작상의 차이점을 근거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의 관련 도상 및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반에 제작된 회화작품, 사진, 실물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북의 형태, 연주도구 채색, 용도 등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민간전승 북의 형태는 북면의 가죽을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줄북 제1형’, ‘줄북 제2형’, ‘못북’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줄북 제1형’은 가죽끈, 혹은 실끈으로 연결하여 마감한 것이고, ‘줄북 제2형’은 줄북에 쐐기를 더한 일명 ‘쐐기북’이다. ‘줄북’의 가죽의 조임 기능을 보강한 ‘쐐기북’은 일종의 진화형으로 비록 도상자료 에서는 구분되지 않지만, 일제강점기 사진 및 실물 자료에서는 ‘쐐기’를 활용한 여려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쐐기북’의 형태가 20세기에 들어 갑자기 출현한 것이라기보다, 그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음을 짐작케 해 준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 두 가지 유형을 동일시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나, 형태상 구분되어야 하며, 현재 제작자 및 유통과정에서 통용되는 ‘쐐기북’이라는 명칭의 고유성도 인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 채색과 문양의 유무를 기준으로 ‘백(白)북’과 ‘단청북’으로 구분하여 비교해본 결과 ‘못북+단청북’ 의 형태가 많았고, ‘줄북’의 경우 북통에 채색한 실물 자료들도 일부 확인되긴 했으나 대부분 ‘백북’ 상태로 마감된 경우가 우세하였다. 민간전승 북의 용도는 민간신앙 의례 중 맹인(盲人) 판수들의 북이 주로 ‘줄북’이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형태별 전용 개념을 논하기 어렵다. 종류별로 정형화된 형태와 규격이 유지되는 궁중 전승 북과 달리 지역 혹은 집단이 소유한 북이 여러 용도에 공유되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민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른바 ‘농악북’은 주로 ‘줄북’이고, ‘못북’은 소리 전용 북으로 기술되어 온 기존의 견해와 달리 ‘못붓+단청북’의 북이 판소리는 물론 무속의례와 농악에 사용된 예가 적지 않았다. 또한 민간전승 북은 형태와 규격, 용도, 명칭 등이 정형화된 궁중 전승 북과 달리, 혹은 시기에 따라 이형(異形)이 많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모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민간전승 북을 ‘농악북’, ‘풍물북’으로 일반화하거나, ‘소리북’, ‘굿북’, ‘승무 북’ 등의 용도상으로 분류하는 시도, 혹은 ‘형태상 대동소이 하다’는 판단은 오류의 재생산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민간전승 북의 세 가지 유형별 명칭과 개념 정의
Ⅲ. 민간전승 북 도상자료 해제와 분석
Ⅳ. 민간전승 북의 유형과 용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