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문화 연구 동향 분석 :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n Cultural Research Trends :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alysis

이창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related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related topics. In 2002, a paper in which Korean culture appeared in bibliographic information was first conducted, and related research exploded from 200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papers by academic journal, it was confirmed that a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ulture, Korean, and education. The 20 topics derive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reclassified by culture type and classified into achievement culture (196), information culture (121), and behavioral culture (693), and research trends by year and period were examined. Due to the nature of behavioral culture, i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ear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research trends by combining topical modeling analysis of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ategorization by cultural type.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어 관련 주제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문화’가 출현 하는 서지정보를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2년 한국문화가 서지정보에 등장한 논문이 처음 수행되었으며 2008년을 기점으로 관련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학술기관별 논문 분포를 분석한 결과 ‘문화, 한국어, 교육’ 관련 학술기관에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도 출된 20개의 토픽을 문화 유형별로 재분류하여 성취문화(196편), 정보문화(121편), 행동문화(693편)로 구분하였으 며 연도별, 기간별 연구 추이를 살펴보았다. 언어문화, 일상문화, 가치문화를 아우르는 행동문화의 특성상 가장 높 은 연구 비중을 차지했다. 이 연구에서는 서지정보 토픽모델링 분석과 문화 유형별 범주화를 결합하여 연구 동향 을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한국 문화 연구 동향
3.1 연도별 논문 수 추이
3.2 학술기관별 논문 분포
3.3 토픽모델링 분석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창봉 Chang-Bong Lee.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