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 of Adolescent Self-esteem and Labor Participation
초록
영어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 self-esteem and labor particip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esteem with ages, out of school students were the lowest. and self-esteem level increased with age. Second, when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levels between genders were examined, male students showed slighty higher positive self-esteem and total self-esteem, which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labor participation is as follows: 50.4% of students experienced part-time jobs in low self-esteem group. And 50.6% of students experienced part-time jobs in high self-esteem group. It shows that self-esteem level doesn’t have relation to part-time job experience. Fourth,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part-time job intention and self-esteem was analyzed, 50.5% of students in low self-esteem group responded they would have part-time job, but 49.5% of students in high self-esteem group. Also, 50.9% of low self-esteem group students responded they had no intention of getting part-time jobs, but 49.1% in high self-esteem group. It shows self-esteem level doesn’t influence the decision to get part-time jobs. La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son they get part-time jobs and self-esteem level was analyzed. 68.1% of students in low self-esteem group had part-time jobs voluntarily, while 31.9% had to have jobs involuntarily for economic cause. Also 75.2% of students in high self-esteem group had part-time jobs for voluntary motive and 24.8% for economic cause. So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more voluntary cause and low involuntary cause for part-time job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존감이 노동참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자존감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긍정)은 학교 밖 학생들이 가장 낮았고, 재학 생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존감(긍 정)과 자존감(합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과 노동참여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0.4%,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50.6%이었다.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 르바이트 경험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르바이트 의향과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르바이 트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중에 자존감이 낮은 집단의 비율은 50.5%이고, 자존감이 높은 집단의 비율은 49.5%이 었다. 따라서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르바이트 의향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르바이트 이유 와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68.1%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31.9%이었다. 또한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75.2%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24.8%이었다. 자 존감이 높은 집단이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자발적 동기가 높고, 비자발적 동기가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청소년 자존감의 이해
2. 청소년 노동참여에 관한 고찰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자존감에 관한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