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부모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 Mediating Effect of Parents' Self-Esteem

정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arents' self-este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al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of the 7th year of 2014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and Pearson's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Process Macro Model 4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all laten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other and father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father and mother's stress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arents should be able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so that they can have faith and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control their emotions well in parenting stressful situ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부모 양육 스트레스,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부모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부모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 성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 스트레스와 유 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모든 잠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 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아버지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가 양육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감정 을 잘 조절 할 수 있도록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변인 기술통계
2.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3. 어머니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서 어머니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4. 아버지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서 아버지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영미 Jeong Yeong Mi. 정회원, 경남도립거창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