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체험 이야기하기의 구술적 특성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Narrative Storytelling

김경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olk language that lives and breathes in modern works does not just come from old stories, but it is a personal narrative which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narrator. Like many genres in oral literature, most of these personal narratives occur from the impulse of communicating and reinventing rather than from the impulse of creating. Compared to traditional folktales, stories about an individual’s experiences, such as personal narratives are often performed by adding the individual tendencies of the narrator. In so doing, the phenomenon of "processing the experience by estimating it and reinterpreting the memories roughly " occurs, and this is a significant factor in making the oral literature. However, the question that arises here is: How can we deal with these significant elements that are inevitably captured when performed orally? Text linguistics, the main methodology of this paper, implies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impromptu elements of oral literature. Also, textual linguistic analysis of personal narrative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discussing oral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angles which have been difficult to analyze, such as on-site atmosphere, speaker mistakes, contradictions in stories, and audience reactions. He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uss oral-poetics in oral literature which are based on the one-off of 'words', the ‘roughness’ of the on-site atmosphere, and the stackability of the 'wisdom of crowd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personal narrative storytelling that plays an important part in Veabal art in community culture.

한국어

현대 이야기 현장에 살아 숨 쉬는 언어 민속은 옛이야기가 아니라 개인의 체험을 이야기하는 개인서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서사는 구비문학 내의 여러 장르들처럼 창조의 충동으로부터 발생하기보다는 전달과 재창조의 충동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전통적인 옛이야기에 비해 개인서사와 같은 체험에 대한 이야기의 경우 구연을 담당하는 이야기 화자 개인의 성향이 더해져서 연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체험을 어림잡아 재단하고, 추억 을 주먹구구식으로 재해석’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구비문학을 구비문학이게끔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문제 는 구연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포착되는 이러한 유의미한 요소들을 어떻게 다룰지이다. 본 논문의 주요 방법론인 텍스 트 언어학은 이러한 구비문학의 즉흥적인 요소들을 포착해 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개인서사에 대한 텍스트 언어 학적 분석은 현장의 분위기, 화자의 실수, 이야기 내용의 모순, 청중의 반응 등 그동안 구비문학 연구에서 다루기 힘 들었던 구술적 특성들을 좀 더 다른 각도에서 논의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말’이라는 일회성, ‘어림셈’이라 는 현장성, ‘대중의 지혜’라는 적층성을 기반으로 하는 구비문학의 구술시학을 효과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나아가 공 동체 문화에서 개개인의 언어 예술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체험 이야기하기 연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체험 이야기하기로서의 개인서사
Ⅲ. 개인서사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의 필요성
Ⅳ. 개인서사의 구술적 특성 분석
Ⅴ.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섭 Kyung-Seop Kim. 종신회원,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