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Intermediary Role of LMS Learning Effects

김은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LMS learning effect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college of J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study results show that digital literacy of nursing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MS learning effect (B=.65, p<.001) and major satisfaction (B=.62, p<.001), and the LMS learning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B = .19, p < .001)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and it was found that the LMS learning effec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not only digital literacy but also LMS learning effec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 간의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를 파악하고자 J시의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LMS 학습효과(B=.65, p<.001)와 전공만족도(B=.62, p<.001)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LMS 학습효과는 전공만족도에 정적인(B=.19, p<.001) 상관관계가 있어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와 전공만족도의 사이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 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LMS 학습효과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 대상자
3. 윤리적 고려 및 자료수집방법
4. 연구도구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디지털 리터러시, LMS 학습효과, 전공만족도
3. 디지털 리터러시, LMS 학습효과, 전공만족도 상관관계
4.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의 매개효과
Ⅳ. 결론 및 논의
Ⅴ.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은재 KIM EUN JAE. 정회원,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