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와 제문제

원문정보

Cases of Stone Pagodas Restor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ertinent Issues

김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reviewed with the focus on issues conspicuously noted from the cases of the stone pagodas restor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rough this effort, it presents the conclusion to state for points to pay attention in future restoration endeavors,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restoration of stone pagodas, the most frequently confirmed error was the displacement of the pagoda materials, and the typical display could be shown i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of Galhang-saji (site of Galhang Temple), in Gimcheon, East-West 3-Story Stone Pagoda in Cheongun-dong, Gyeongju, and others. This issue was a concrete and factual matter that could be improved with an appropriate procedure and paying attention. Second is the change in structure or composition of the stone pagoda, that there are 3-story stone pagoda in Bulguk-sa, Gyeongju, 5-story stone pagoda in Muryang-sa, Buyeo and others. This issue was undertaken while the clear concept and philosophy on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and style was still not complete that, in recent days, it has been refrained, but such trend is still shown in those recently restored stone pagodas. If the original shape of the stone pagodas to be restored at the present time is unable to prove, it would be a way to preserve the current status until the firm basis could be secured. Third, in the event that a stone pagoda is restored by using significantly more new materials than the original materials, it could be a re-construction, not the restoration, and there is a typical case of East-Pagoda of Mireuk-saji in Iksan. In the event that any pagoda that has been destroyed, such as the 3-story stone pagoda in Beongseo-ri, Mungyeong, is to be reconstructed with the new materials, it would be constructed by referencing to the similar size and proportion of stone pagoda that it cannot be stated as an accurate restoration. In this relation, it is possible to study the design method of the stone pagoda to utilize it in the restoration, but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is that it would be a task to be processed for accumulation and analysis of data continuously in the future. Lastly, there are insufficiency of base data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along with the error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foregoing would be most fundamental and innate approach for the restoration that any error thereto could be an important issue to result in damaging the original shape and form in its consequence. Namely, it is a key that penetrates entir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at it requires the methodology on ‘sufficient’ collection of base data steadily, and it requires the need to unyieldingly contemplate what should be done for preventing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discretion. In the public issue making process on restoration and investigation on base data, there is a need of sufficient time throughout entire process. Furthermore, in order not to encounter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re is a need to make close compilation of reports, white books and other data when disassembling and restoring the stone pagoda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된 석탑의 사례 중에서 눈에 띄게 확인되는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복원시 주의해야 할 점과 개선 방향 등을 기술하는 것으로 맺음말을 대신하였다. 석탑의 복원에 있어 가장 빈번하게 확인되는 오류는 탑재의 變位였으며, 대표적으로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으로, 제대로 된 절차와 주의만 기울여도 개선되는 문제였다. 둘째, 석탑의 구조나 구성의 변화로,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등이 있다. 이 문제는 복원의 원형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철학이 미진한 상태에서 행해진 것으로 최근에는 지양되는 분위기이지만, 근래 복원된 석탑들에서도 공공연히 볼 수 있다. 현시점에서 복원하고자 하는 석탑의 원형을 증명할 수 없다면 확실한 근거가 확보될 때까지 현상 보존을 하는 것도 방법 중하나라 할 수 있다. 셋째, 원부재보다 新部材를 많이 사용하여 석탑을 복원할 경우, 복원이 아닌 再建이 되기도 하였는데, 익산 미륵사지 동탑이 대표적이다. 문경 봉서리 삼층석탑과 같이 멸실된 탑재를 신부재로제작할 경우, 대개 유사한 크기와 비례의 석탑을 참조하여 조성하므로 정확한 복원이라 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석탑의 설계방식을 연구하여 복원에 이용하는 방법론이 있겠으나, 현재 연구가 미진한 상태로 향후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이 진행되어야 할 과제로 생각한다. 마지막은 기초자료의 수집 및 조사의 불충분과 그에 따른 해석과 판단의 오류이다. 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근원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오류는 결과적으로 원형을 훼손하는 결과까지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였다. 즉, 이는 복원의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으로, 기초자료의 ‘충분한’ 수집에 대한 방법론을 꾸준히 계발해야 하며, 해석과 판단의 오류를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복원에 관한 공론화 과정과 기초자료 조사에서 복원의 전과정에 걸쳐 충분한 시간이 요구되며, 더불어 향후 이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지 않기 위해, 현재 석탑을해체, 복원할 때 보고서, 백서 및 기타 자료를 면밀히 남길 필요가 있다.

목차

I. 머리말
II. 해체ㆍ수리 복원
III. 移建 복원
IV. 도괴된 석탑의 복원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현 Kim Ji Hyun. 동국대학교 WISE 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