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방자치단체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유형과 명칭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특별시와 광역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ypes of Visual Identity of Local Governments and Name Standardization - Mainly in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

김인국, 김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arting with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began developing symbols based on various reasons, including establishing identity, strengthening discrimination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and improving policy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status and the name of the symbol were studied for visual symbols of one special city and six metropolitan cities. Fifty visual symbols established by seven municipaliti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dictionary meaning of terms, rank of local symbol management ordinance, and similarity by use.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have given different names to each other, mixed names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meaning, and given names unrelated to their use. When users approach with knowledge of visual identity and when users approach without background knowledge, they both cause confusio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local governments and design academia should come up with measures to manage symbols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recognize the problems with the naming system, and present terminology organization and standardization.

한국어

대한민국은 1995년 지방자치제를 시작으로 지방자 치단체들은 정체성 확립과 타 지자체와의 차별성 강 화, 정책 추진의 효율성 제고 등 다양한 이유를 근거 로 상징물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이런 양상은 무수 히 많은 동식물과 시각화된 상징물을 통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1개 특별시와 6개 광역시의 시각 상 징물을 대상으로 개발 현황과 상징물의 명칭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7개 지자체가 제정한 50개 시각 상 징물을 대상으로 용어의 사전적 의미, 지자체 상징물 관리 조례상 위계, 용도별 유사성에 따라 크게 5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 상징물 명칭의 사전적 의 미와 상징물의 용도에 맞게 올바르게 쓰이고 있는지 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자체는 동일 상징물에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하여 명명하거나, 의미상 차이가 분명함에도 구 분 없이 혼용하고 있으며, 용도와 관계없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는 등 상징물들의 명칭 사용이 일정 기준 이나 체계가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가 비주얼 아이덴티티의 지식을 가지고 접근한 경우와 배경지식이 없이 접근한 경우 모두 정보 전달과 의사 소통에 혼란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런 문제점 해소를 위해서 지자체와 디자인 학계 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상징물 관리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명칭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용어에 대한 정리와 표준화를 제시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아이덴티티의 개념
2.2. 지방자치단체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2.3. 지방자치단체의 상징물 관리 조례
3. 지방자치단체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현황
4. 지방자치단체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분석
4.1. 분류1 : 휘장, 상징마크, 심벌, 심벌마크, 시기
4.2. 분류2 : 브랜드, 슬로건, 비전, 구호
4.3. 분류3 : 캐릭터, 마스코트
4.4. 분류4 : 엠블럼, 문장
4.5. 분류5 : 색채, 서체, 이모티콘, 로고타입, 문양
4.6. 소결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인국 Kim, In Guk.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김별 Kim, Byul.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디자인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