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語源辭典의 試論
2. 未開拓의 處女地
3. 語源硏究에는 雜學이 必須
4. 語源硏究는 國語의 틀 안에서는 限界가 있다.
5. 語源硏究에 앞서야 할 基礎作業
6. 語源硏究의 方法
1) 祖語는 單音節語로서 閉音節語다
2) 動詞와 形容詞의 語根은 名詞에서 轉成된 것이다.
3) 祖語의 語根末音은 거의 ㄷ이다
4) ㅑ, ㅕ, ㅛ, ㅠ의 上昇二重母音의 形成
5) ㅐ, ㅔ, ㅚ, ㅢ의 下降二重母音의 形成
6) 閉音節語의 開音節化
7) 음(-Vm)系 接尾辭
8) 을系 接尾辭
9) 品詞形成의 段階
10) 格語尾의 起源
11) 國語의 祖語와 中國語의 祖語
12) 마무리
2. 未開拓의 處女地
3. 語源硏究에는 雜學이 必須
4. 語源硏究는 國語의 틀 안에서는 限界가 있다.
5. 語源硏究에 앞서야 할 基礎作業
6. 語源硏究의 方法
1) 祖語는 單音節語로서 閉音節語다
2) 動詞와 形容詞의 語根은 名詞에서 轉成된 것이다.
3) 祖語의 語根末音은 거의 ㄷ이다
4) ㅑ, ㅕ, ㅛ, ㅠ의 上昇二重母音의 形成
5) ㅐ, ㅔ, ㅚ, ㅢ의 下降二重母音의 形成
6) 閉音節語의 開音節化
7) 음(-Vm)系 接尾辭
8) 을系 接尾辭
9) 品詞形成의 段階
10) 格語尾의 起源
11) 國語의 祖語와 中國語의 祖語
12) 마무리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