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朝鮮漢文學史)』의 인용 문헌 활용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Style of 『A History of Chosŏ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Kim T’ae-jun

구지현, 최재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organizes the literatures cited in 『A History of Chosŏ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Kim T’ae-jun, by era, which is the first book to diachronically systematize the historical flow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has been provided as a basic genealogy of Sino-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s the way of utilizing the liter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yle. Previously, there was no attempt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by academia, the work of collecting and examining data and describing it as a history of literature was based on an empirical attitude. In accepting the existing data, it went through the work of self-verification, other data were supplemented as occasion demands. For example, in setting the starting point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author's origin and the reality of the work are described based on an empirical attitude. In addition, evaluation of China played a major role. This is for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and it does not mean that he did not trust the evaluation of domestic writers. Because of the perceptive of Kim T’ae-jun, which regarded Sino-Korean literature as Chinese literature, evaluation in China was preferred rather than domestic evaluation. Lastly, Kim T’ae-jun described, by citing existing reviews,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way that he speaks for his opinion. He utilized Sin Wi’s quatrain, which had have a suggestive character through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ntactly applied his viewpoin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on the Sino-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is also confirmed that he repeated his mistakes as they are. 『A History of Chosŏ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Kim T’ae-jun was inherently inevitable to have a bias against the narrative of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Because he had focused on wheter or not it has the reputation in China, which was caused by the viewpoint of treating Chosŏ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 a remote region’s literature, and mainly accepted the centralized writers’ appraisal, especially Sin Wi’s, etc. Even so, in the narrative of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pioneering attempt to introduce a modern academic attitude by showing an empirical attitude based on literature cannot be underestimated.

한국어

이 논문은 우리나라 한문학의 역사적 흐름을 통시적으로 체계화한 최초의 저술 이자 한문학 연구의 기본적인 계보로 제공되어왔던,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 에 인용된 문헌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자료의 활용 방법과 서술 방식에는 어떠한 특 징이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전에는 한문학사의 체계를 세우려는 학계의 시도가 없었으므로, 자료를 수집 하여 검토하고 이를 문학사로 기술하는 김태준의 작업은 실증적 태도에 입각하여 이루어졌다. 기존 자료를 수용함에 있어 스스로 검증하는 작업을 거쳤으며, 필요 에 따라 다른 자료를 보충하여 넣었다. 일례로 우리나라 한문학의 시작점을 설정 함에 있어 작자의 출신과 작품의 실재를 실증적인 태도에 입각하여 서술한 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중국에서의 평가가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이 역시도 평가의 객관성을 위 함이며, 자국 문인의 평가를 신뢰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한문학을 중국문학의 한 부분으로 보았던 김태준의 인식으로 인해 자국에서의 평보다는 중국에서의 평가 가 우선적으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김태준은 기존의 평을 인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대변하는 방식으로 문학사를 기술하였다. 그는 문학사 전반에 걸쳐 시사적 성격을 지닌 신위의 『동인 논시절구삼십오수』를 활용하면서 그의 문학사적 관점을 한문학사 서술에 그대로 받아들였다. 동시에 그의 오류까지도 그대로 답습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김태준은 문학사 기술에 있어 실증적 태도를 보이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평이 아닌 조선 문인들의 평을 그대로 수용하는 전근대적인 시화 기술방법을 차용하였던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한문학사』에 인용된 문헌
3. 인용 문헌을 통해 본 『조선한문학사』 서술의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지현 Koo, Jea-hyoun.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및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 최재원 Choi, Jae-won.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