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매체 전환에 따른 『춘향전』의 스토리 확산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read of Story in “Chunhyangjeon” according to Media Transformation

김대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unhyangjeon”, which has various editions, established a system only with this study, and has bee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study of novels in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Chunhyangjeon”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f so, how will the data of “Chunhyangjeon” Hall in the 20th century be organized after “Okjunghwa(1912).” As is well known, in the 20th century, “Chunhyangjeon” was adapted into various genres such as novels, plays, and manga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and books, which are print media, and because Chunhyangga existed as pansori, it was also converted to voice media. In addition, numerous “Chunhyangjeon” contents were produced through the transition to different genres such as movies, dramas, sitcoms, advertisements, and comedy and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are video media. This aspect can be summariz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ver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video media to examine how “Chunhyangjeon”, produced in the 20th century, shows a different pattern from Yvonne's era. Media transition takes place in place of Yvonne. First, the contents of “Chunhyangjeon” converted into a video medium were investigated. In the meantime, through previous studies, 48 films have been introduced as 25 films, 15 dramas and sitcoms, 7 advertisements, and 1 comedy and entertainment program. In addition, a total of 74 “Chunhyangjeon” contents were confirmed by adding 26 films, including 6 newly discovered movies, 5 dramas and sitcoms, 5 advertisements, and 10 comedy and entertainment programs. In particular, with the conversion to a movie, about 80 “Chunhyangjeon” contents are included, including six works that partially cite the subject matter of “Chunhyangjeon.” The story of “Chunhyangjeon”, which was converted into a video medium, was used in various ways as well as cross-media storytelling as a narrative method of media conversion storytelling. If cross-media storytelling is viewed as an existing adaptation theory, transmedia storytelling has borrowed four methods: expansion, modification, transposition, and citation presented by Ryan. The narrative method of cross-media storytelling was 18 movies and 11 dramas, 36% of the total “Chunhyangjeon” content, and the narrative method of transmedia storytelling was 19 movies, 9 dramas and sitcoms, 12 advertisements, and 11 comedy and entertainment programs, accounting for 64%. In particular, the “Chunhyangjeon” content, which follows the narrative method of transmedia storytelling, used four narrative methods: expansion, revision, substitution, and citation, contributing to the character's character, narrative structure, and window representing each era. In the case of dramas and sitcoms, various problems of family society in the 90s were put to the forefront by expanding, modifying, and replacing them except for citation, and expressed joy and sorrow through classical twisting. The advertisement cited the main scene of “Chunhyangjeon” and revised it to a story suitable for the product, and comedy and entertainment programs expanded the story world of “Chunhyangjeon” through comic characters, opening up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most dramatic variable.

한국어

다종의 이본을 가지고 있는 『춘향전』은 이본 연구만으로도 계통을 세워나가며 국문학의 소설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자리하였다. 그 이본 연구는 『춘향전』의 19세기 말까지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그렇다면 『옥중화』(1912) 이후 20세기 『춘향전』 자료는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주지하다시피 『춘향전』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인쇄매체인 신문, 잡지, 단행 본 등을 통해서 소설, 희곡, 만문만화 등 다양한 장르로 각색되었고, 판소리로서 <춘향가>가 존재했기 때문에 음성매체로의 전환도 이루어졌다. 또한 영상매체인 영화, 드라마․시트콤, 광고, 코미디․예능프로그램과 같이 각기 다른 장르로의 전환을 통해 수많은 『춘향전』 콘텐츠가 생산되었다. 이 같은 양상은 매체 전환의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겠다. 본고는 20세기에 생산된 『춘향전』 이 이본의 시대와 어떤 점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영상매체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본을 대신하여 매체 전환이 자리 잡는다. 먼저 영상매체로 전환된 『춘향전』 콘텐츠를 조사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를 통 해 영화 25편, 드라마․시트콤 15편, 광고 7편, 코미디․예능프로그램 1편으로 48편이 소개되었다. 여기에 본고에서 새로 발굴한 영화 6편, 드라마․시트콤 5 편, 광고 5편, 코미디․예능프로그램 10편까지 26편을 추가하여 총 74편의 『춘향전』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화로 전환되면서 『춘향전』의 소재를 부분 인용한 작품 6편까지 합치면 『춘향전』 콘텐츠는 약 80여 편에 달한다. 영상매체로 전환된 『춘향전』 콘텐츠의 스토리는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서사 방식으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뿐만 아니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방식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존의 각색 (adaptation) 이론으로 본다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라이언이 제시한 확장 (expansion), 수정(modification), 치환(transposition), 인용(quotation) 의 네 가지 방식을 빌려왔다.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방식은 영화 18편, 드라마 11편으로 전체 『춘향전』 콘텐츠의 36%였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방식은 영화 19편, 드라마․시트콤 9편, 광고 12편, 코미디․예능프로그램 11편으로 전체 64%에 해당하였다.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방식을 따른 『춘향전』 콘텐츠는 영화의 경우 확장, 수정, 치환, 인용의 네 가지 서사 방식이 두루 쓰이며 캐릭터의 성격과 서사의 구조, 각 시대를 대변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하고 있었다. 드라마․ 시트콤의 경우 인용을 제외한 확장, 수정, 치환의 방식으로 90년대 가정사회의 여 러 문제를 전면에 내세웠고, 고전 비틀기를 통해 희로애락을 표현했다. 광고는 『춘향전』의 주요 장면을 인용하여 제품에 적합한 스토리로 수정했고, 코미디․예능프 로그램은 가장 극적인 변학도의 수청 강요 장면의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코믹한 캐릭터들을 통해 『춘향전』의 스토리 세계를 넓혀갔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매체 전환의 논리와 새로운 『춘향전』 콘텐츠
3. 새로운 『춘향전』의 스토리 확산
4.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대범 Kim, Dae-beom.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