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조선후기 문학의 역병(疫病) 재난과 대응 양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pidemic Disasters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이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epidemic disasters and coping patterns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Epidemics spread constantly on a massive scale during the Joseon Dynasty. Smallpox, measle, and typhus were prevalent. These infections became more seve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by causing tremendous damage, together with wars or abnormal climate and famine. In addition, cholera derived from the outside caused unprecedented damage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diary(日記), Philgi(筆記), Yadam(野談), biography(傳), Chinese poetry(漢詩), prayer(祭文), Gasa(歌辭), Pansori, shaman song(巫歌), th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dealt with an epidemic as a subject matter. Philgi and Yadam contain many stories about gods of epidemics. This is based on the faith and imagination of the contemporaries about gods of epidemics. They were highligh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were personified and appeared in narratives. This was a way to rationalize massive damage that a human can't handle, and it was an effort to find a countermeasure to minimize the damage. The literature on epidemics also reveal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reality of the underprivileged suffering from epidemics. It also raises awareness of crisis from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epidemics. Particularly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an outbreak of cholera with unparalleled contagiousness and fatality. The Joseon people called it 'Gwoi-jil(怪疾: unidentified epidemics)'. This was to evoke pathology or uncertainty inherent in society against the background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Gwoijil was also a symbol of the encounter with heterogeneous others including the West or the world system, or sometimes the rhetoric of disasters or the end.

한국어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문학에 나타난 역병(疫病) 소재를 대상으로 이 시기의 역병 재난과 대응의 양상,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역병이 대규모로 창궐했으며 그 피해는 조선후기에 더욱 심해졌다. 조선후기의 일기(日記)와 인물 전(傳)에는 역병 재난이 일상화되어 나타난다. 17~18세기 문학의 특징적인 국 면으로는 역귀(疫鬼)를 다룬 귀신담을 들 수 있다. 역귀라는 구체적인 귀신 유형 은 조선후기에 부각되는 것이다. 역병은 인격화되어 서사에 등장하였으며, 역귀이 야기는 『어우야담(於于野譚)』, 『천예록(天倪錄)』을 비롯한 필기(筆記)와 야담 (野談)에 실려 있다. 이 시기에는 각 역병마다 다른 귀신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있 었으며 역귀에 대한 태도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역귀담에서 두드러진 것은 두창 (痘瘡)과 두신(痘神)이었다. 이는 대규모의 역병 재난에 대해 납득이 가능하도록 나름대로 합리화하는 이해방식이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모색의 노력이 었다. 역병 소재 문학은 사회 및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드러내기도 한다. 특 히 19세기에는 전에 겪어보지 못했던 괴질(怪疾), 즉 콜레라가 처음 유행하였고, 판소리 <변강쇠가> 등에는 이 괴질에 대한 경험과 기억이 두드러진다. 괴질은 기 존의 사고방식이나 관습으로 설명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질병이라는 점에서 공포 를 불러일으켰다. 역귀이야기가 이 시기에 이르러 적극적으로 수용되지 못했던 것 은 역병 인식의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19세기 괴질은 사회에 내재된 병리성이 나 불확실성을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이는 이질적 타자와의 만남을 표상하는 것이 기도 했으며, 재앙 또는 종말의 수사(修辭)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일상화된 역병 재난과 역귀(疫鬼)에 관한 상상
3. 괴질(怪疾)의 공포와 위기의식의 표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주영 Lee, Ju-young.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