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tudy on Misu Heo-Mok(眉叟 許穆)’s Hermeneutics of Shihjing
초록
영어
In the 17th century, when Heo Mok lived, was a time when a new order was urgently n eeded. After t he J 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 he e c onomic life of the people became impoverished, and the social order was also confus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sis, the 17th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stage of Bungdang politics(朋黨政治) in which political issues are applied to practical problems based on the theory of each school.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m did not play a proper role in overcoming the problems of reality that were impoverished in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Byeongja War in 1636. Therefore, it was a time when the debate and confrontation intensified between Seoin-line(西人系) scholars who wanted to solve real problems by further developing the logic of Confucianism and Namin-line(南人系) scholars who opposed it and tried to solve social problems with their own theories.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Heo Mok was in charge of one of the pillars of the Yesong thesis(禮訟論爭). Heo Mok saw Yukgyeong as a coherent system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Joseon at that time. he tried to find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Confucianism. Therefore, he tried to restore the principles of Joseon's reign at the time,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satire that emphasized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l, although he followed the poetry collection, which was the interpretation of Ju-he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nature and emotion, he tried to inherit the Neo-Confucian system of neisheng-waiwang 內聖外王(inner-sageness and outerkingliness) by accepting Ju-hee's theory of nature and emotion as it is.
한국어
미수 허목은 양란 이후 피폐해진 조선사회에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유학의 본래적 의미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문제의식이 상고적 경향으로 나타난다. 그는 사회질 서의 수립을 위해 육경을 하나의 전체적인 체계로 보고 시경, 서경, 역경, 예경, 춘 추, 악경의 각 기능과 특징을 요약하여 「경설」 20편의 논설문을 작성한다. 따라서 육경과 각 경전은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의 경학관의 체계를 이룬다. 허목은 성 리학적 시 해석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본성과 감정의 관계에 대해서, 본성은 순수하고 지선한데 이러한 본성이 외물에 자극되어 감정이 생긴다고 보았다. 따라서 시는 단순한 정을 읊는 것이 아닌 ‘성정의 올바름’을 읊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 허목은 시의 기능을 풍자로 보고 통치자의 정치 행위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또 백성들이 풍자한 내용을 잘 살피는 것을 통치자의 핵심적인 덕목으로 보고 있다. 백성들의 풍속을 잘 살펴야 한다는 것은 풍자를 중시하는 모시의 전통과 맞물린다. 이것은 허목이 교화를 중시하는 성리학적 시경 해석을 기본적인 전제로 하면서도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육경 인식과 「시설」의 체계와 특징
3. 성정론
4. 『모시정전(毛詩鄭箋)』의 수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