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릉 한송사와 한송정 시문과 전설 고찰

원문정보

The Study of Gangreung Hansongsa Temple legend and Hansongjeonggok

장정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ngreung Hansongsa Temple was a Buddhist temple that existed with Hansongjeong. It was called as ‘Munsusa’, and as it was erected on Hansongbaeksa (寒松白沙), it was also called as either ‘Hansongsa Temple’ or ‘Hansansa (寒山寺). Some regard that Hansongsa Temple is the same as Inwolsa Temple. The name, ‘Hansong (寒松)’, in Hansongsa Temple implies a lot. It is told that the place became filled with trees in Silla as Hwarang and three thousand people following him planted a pine each there. Either Hansongsa Temple or Hansongjeong is a tourist spot in ‘Gangreung with Pine Scent’ in which the history of Gangreung’s pine landscape is deeply rooted down. Gangreung has a tradition to protect pine trees setting up ‘Songgye (松契)’, and Yulgok Lee Yi praised the love of pine writing ‘Hosongseol (護松說)’. As its conclusion, this study sums up the results of considering Hansongsa Temple and Hansongjeong as below: First, the earliest one among six pieces of poetry and prose written in Hansongsa Temple is what was written by Kim Geuk-gi in the reign of Myeongjong in Goryeo. He sang about the view of Hansongsa Temple and also how refreshing it was. Jeong Chu who served as Gongraehyeongryeong at the end of Goryeo recited the impression about him encountering an old monk at the Buddhist sanctum of graceful Hansongsa Temple. Ham Cheon-gye in the reign of Gwanghaegun in Chosun wrote an episode about Mok Dae-heum who came as Gangreungbusa in 1633 and Gosari Churyeom at Hansongsa Temple. Jo Ha-mang who was appointed as Gangreungbusa in 1742 visited Myeongsasimni Hansongsa Temple and wrote a poem about it. Also, Manchwi Choi Seok-hyeon from Gangreung Choi’s family declared that Sipricheongsa Hansongsa Temple should be the one with a thousand years of history. Lastly, Sim Sang-ryong from Gangreung sang about his feelings about deserted Hansongsa Temple. Second, the tale about Hansongsa Temple’s origin deals with Manjusri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s miracles. It is said that Manjusri Bodhisattva symbolizing wisdom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representing practice came out from the underground. The tale of its origin lets us know why the statues of the two Bodhisattvas were enshrined in Hansongsa Temple. Third, Hansongjeonggok is a song from Silla that was known even in China as well in Goryeo, and it is highly valuable as a literary work that informed overseas lands of splendid scenery in Gangreung.

한국어

강릉 한송사는 한송정과 함께 존재했던 사찰이었다. 그 이름은 ‘문수사’로 불렸으며, 한송백사(寒松白沙)에 세워져 ‘한송사’ 또는 ‘한산사(寒山寺)라고도 했는데, 한송사와 인월사를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하였다. 한송사는 ‘한송(寒松)’ 이라는 명칭과 함께 포괄적 의미를 지닌다. 이곳에는 신라 때 화랑과 그를 따르던 무리 삼천 명이 소나무를 한 그루씩 심어 울창해졌다고 전하는데, 한송 사나 한송정은 강릉 소나무 경관의 역사가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솔향 강릉’의 명소이다. 강릉에서는 ‘송계(松契)’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한 전통이 있으며, 율곡 이이 선생은 ‘호송설(護松說)’을 지어 소나무 사랑을 칭송하였다. 결론으 로 한송사와 한송정 고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송사 시문은 6수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는 고려 명종 때 김극기가 쓴 것이다. 그는 한송사의 경관과 청량한 사찰을 노래했다. 고려말 동래현령을 지낸 정추는 단청한 한송사 불전에서 노승을 만난 감회를 읊었다. 함천계는 조선 광해군 때 함천계는 1633년 강릉부사로 왔던 목대흠과 한송사 고사리 추렴에 대한 일화를 글로 남겼다. 1742년 강릉부사로 왔던 조하망은 명사십리 한송사를 방문하고 이에 대한 시를 남겼고 강릉최씨 만취 최석현은 십리청사 한송사가 천년고찰임을 밝혔다. 마지막 강릉의 심상룡은 폐사된 한송사에 대한 감회를 읊었다. 둘째, 한송사관련 연기설화는 문수보살, 보현보살의 이적(異蹟)에 대한 것이 다.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상이 땅속에 솟아올 랐다는 것이다. 이 두 보살상을 한송사에 모셨음을 알 수 있는 한송사의 연기(緣 起)설화이다. 셋째, 한송정곡은 고려 때 중국까지 알려진 옛 노래로서 강릉의 찬란한 경관 을 해외까지 소개한 문학작품으로 가치가 높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송사 문헌과 한시작품
1. 한송사 문헌 기록
2. 한송사 한시 작품
Ⅲ. 한송사 사찰연기설화(緣起說話)
Ⅳ. 한송정곡 전승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정룡 Jang, Jeong Ryong.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