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r college students who wish to pursue a career in the exhibition industry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pursuing career in exhibition indust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items that measure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quality, academic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Second, academic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physical quality of online education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는 전시산업진출을 희망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수업에 대한 교육서비 스품질에 대한 인식이 진로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어떤 영향관계에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항목이 물리적 품질, 전공부문 상 호작용, 교우 상호작용으로 구분됨으로써, 비대면 교육이라는 수업행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본적 설비에 대한 물리적 시설관련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판단 된다. 둘째,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과 자기효능감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전공부문 상호 작용과 교우상호작용만이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비대면 교육서비 스품질의 물리적 품질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 었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글로벌화 등의 사회적 요구는 전시산업부문에서도 나타나 고 있으며, 전시산업부문의 경우 더욱 국가간·산업간의 다양한 정보와 산업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특성이 있기에, 교육서비스에서도 수준있는 물리적 IT 환경 구축과 같은 변화의 시도가 요구된다. 이에 대학은 전시산업부문에서 요구되는 인력의 역량강 화를 위해 높은 수준의 대면 혹은 비대면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끊임없이 전시산업진 출을 위한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체계적인 진로결정과 준비행동계획 수립과 실천적 방 안들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주도적으로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시산업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전시산업 진로진출을 희 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대면 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을 도출한 탐색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비대면교육 서비스품질
2. 의사결정 자기효능감
3. 진로준비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가설의 설정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특성
2. 탐색적 요인분석
3. 연구모형의 구성개념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성 분석
4. 가설의 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