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북위 불교미술에 보이는 북방적 요소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Northern Elements in Northern Wei Buddhist Art

서남영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8집 2022.06 pp.213-23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academic world, the prevailing view has been that the Tuoba Xianbei nation(拓跋鮮卑族), who were nomads in the north, abandoned their way of life and assimilated the Han spirit, culture, and system as a whole in order to rule China. In addition, the Buddhist art of Northern Wei is seen as being a part of a process that abandons the identity of a northern nation and assimilates into the Han Chinese to achieve “siniciz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northern nomadic elements still remain in the Buddhist art of Northern Wei. This characteristic can be said to be a unique characteristic of Northern Wei Buddhist art, which is hard to find in the Buddhist art of the Southern Dynasti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ocalled 'northern element' of the original culture and ethnicity of the nomadic northern Xianbei n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ree perspectives. F i rst , a l t h o u g h C h i n e s e i z at i o n ra p i d l y p ro g re s s e d t h ro u g h p o l i cy of t h e sinicization(Hanwha policy), and the capital was moved to Luoyang (Luoyangcheondo) under the rule of Emperor Xiaowen(孝文帝), the Northern Wei tried to concretely embody the leader of the northern nomads by producing a total of 7 large-scale Buddha statues in the Yungang Grottoes. Moreover, by projecting the image of the emperor on these Buddha images, they were able to to create an image consistent with the idea o f worshiping the emperor. Second, by producing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with the “crossed ankles” posture, which were popular in Central Asia, an icon that matched the shape of a nomadic king became popular.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if this attitude originated from customs unique to the almsgiving tribe, it can be seen as a northern factor because the number of Bodhisattva statues with crossed ankles posture decreased sharply after the promotion of Hanwha. Third, the idea of matrilineal worship,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characteristic of the northern nation, was found in the records during the years of Taihe(太和, 477- 499) and Xiaochang(孝昌, 525-528).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customs of the nomadic Xianbei nation in the north, where the power of the maternal line was strong unlike the paternal society of the Han Chinese, which 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at the time. As such, it is presumed that the identity of the Xianbei tribe as a northern nation in the Northern Wei Dynasty remained strong at least until the implementation of a full-fledged Hanwha policy. It can also be seen as a period when the two cultures were fused by choosing to selectively assimilate into the Han Chinese culture while retaining their habits as a northern nation.

한국어

그동안 학계에서는 북방 유목민이었던 선비족이 중국을 통치하기 위해 선비족의 생활방식을 버 리고 한족의 정신, 문화, 제도 등 전반적으로 동화되었다고 보는 입장이 우세하였다. 그런 가운데 북위의 불교미술도 북방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버리고 한족에 동화되어 ‘중국화’를 이루는 과정 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북위의 불교미술 안에 북방 유목민적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점도 간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남조의 불교미술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북위 불교미술의 고 유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방 유목민이었던 선비족 본연의 문화와 민족성에 바탕을 둔 소위 ‘북방적 요소’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첫째, 북위는 효문제(孝文帝)가 단행한 한화(漢化)정책과 낙양천도를 통해 급속히 중국화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운강석굴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총 7구의 대규모의 불상을 제작함으로써 북 방 유목민을 이끈 리더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더구나 이러한 불상에 황제의 이미지를 투영해서 황제숭배 사상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둘째, 지역적으로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유행한 교각자세의 미륵보살상을 다수 제작함으로써 유 목민의 왕의 형상과도 일치하는 도상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세가 탁발족만이 가진 고유한 풍습에서 비롯된 것인가 하는 점에 관해서는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지만 한화를 추진한 이후에는 교각보살상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북방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셋째, 북방 민족의 특성으로 언급할 수 있는 모계 숭배 사상이 태화(太和, 477-499)나 효창 (孝昌, 525-528)년간에 기록으로 확인된다. 이는 한족의 부계사회와는 달리 모계의 권력이 강했 던 북방 유목민으로서의 선비족의 풍습이 당시의 불교미술의 제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결과 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북위 왕조에서 선비족 본연의 북방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은 적어도 본격적인 한화정책 이전까지는 강하게 남아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북방민족으로서의 습성을 기반으로 어디까지나 한문화를 취사선택해서 두 문화가 융합을 이룬 시기로도 볼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방의 의미: 호(胡)와 한(漢)의 개념
Ⅲ. 북위 불교미술의 북방적 요소
1. 대규모의 불상 제작
2. 교각자세의 보살상 제작
3. ‘이성(二聖)’에 반영된 모계 숭배사상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서남영 Seo, Namyoung.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