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ing album titled Seongnong Hwawon (“Seongnong Hwawon”) and its collection catalogue Seongnong Hwawon (“Catalogue”) by analyzing the paintings of Jeong Seon included in the album and the eponymous catalogue. The Catalogue is known as 18th century complete catalogue of the paintings in Seongnong Hwawon, created by an art collector Kim Gwang-guk (1727-1797). However a sufficient authentication of the Catalogue as a primary source has not yet taken place. Featured in the Catalogue are 267 records of Korean, Western, Eastern paintings, including 19 paintings of Jeong Se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3 works in Seongnong Hwawon, 1 work of Hwawon Byeoljib , and the 15 new works that appear in the Catalogue with existent works of Jeong Seon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ogue and validate its art historical value. First, this research will discuss the current situation of Jeong Seon’s works as they appear in Seongnong Hwawon and the Catalogue. Then, relevant attachments, criticisms, notes, and anecdote manuscripts about Jeong Seon’s works in the Catalogue will be examined to raise points of differentiation and suspicion. Also, the themes and contexts of previously unseen Jeong Seon landscapes that appear in the Catalogue will be comparatively examined with currently recognized Jeong Seon paintings, finding that the Catalogue falsely imposed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Yeolsang Hwabo and Seongnong Hwawon, while examining the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ainting albums. Furthermore, while investigating the factuality of records of Park Jiwon showing Yeolsang Hwabo to Yoo Manjoo, it was found that Yoo Manjoo drew a connection between Yeolsang Hwabo and Seongnong Hwawon, thus using Yeolsang Hwabo not as a specific name for the painting album, but as a general term to describe a painting album containing works from Joseon painters. Resultantly, the Catalogue is found to be a selective collection of recent Korean Art History research, and a reconstruction of painter, critic, and writer spheres, collection records and periods, and criticisms as a new creation. Above all else, the aftermath of the misreading or magnified interpretation about historical materials that emerged in 2007, as well as the 20th century concept of Yeolsang Hwabo , can be found in the Catalogue - a conclusive evidence for the case against its being an 18th century work. The Catalogue - written by a 3rd party other than Kim Gwang-guk - departs from established research in its contents and scope, in addition to collection periods, notation and provision methods of collection information, partakers, and more. The Catalogue focuses on the contents, as well as painter and painting names, of Kim Gwang-guk’s collection, based on the format and style of the 18th century Seongnong Hwawon and 19th century Hwawon Byeoljib .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the author of the Catalogue was unconcerned with actual cultural aspects of the collector. In addition, the Catalogue is made with 20th century scholarly knowledge and concepts, and deliberately claims all o f Jeong Seon’s newer 15 paintings as part o f Kim Gwangguk’s collection, which is incongruent with current understanding of 18th century art collection. Thus, it is suspected that studying the Catalogue as an item of historical fact may lead to substantial error. In this and future works, various forms of authentication of all aspects must first be conducted via a thorough criticism of the source material.
한국어
이 글은 ‘석농화원’이라는 이름을 공유한 화첩(이하 《석농화원》)과 목록집(이하 『목록』)에 실 린 정선의 회화를 분석해 목록집의 문제점을 밝힌 것이다. 최근 『김광국의 석농화원』이라는 이름 으로 출판된 『목록』은 18세기 중인수장가 김광국(1727~1797)이 만든 소장품의 전체 목록집으 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차사료로서 이 문헌의 신뢰성 여부는 아직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한 국과 동·서양의 회화 267폭에 대한 기록을 담은 이 책에서 정선 회화는 총 19폭이다. 《석농화 원》의 3폭과 《화원별집》의 1폭, 새로 출현한 15폭에 대한 그 기록을 다각도로 고찰하여 『목록』 의 사료적 가치를 논구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우선 『목록』에 담긴 김광국 소장품과 정선 회화의 현황과 쟁점을 소개한 뒤, 이 책을 순수한 18세기 문헌으로 수긍하기 어려운 이유를 작자와 시대, 정보제공 방식, 주제와 맥락 및 그 기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또한 『목록』에 의해 강화된 《열상화보》와 김광국 소장품의 관계, 박지 원이 유만주에게 《열상화보》를 보여주었다는 기록의 사실 여부, 18세기와 20세기에 있어서의 ‘열 상화보’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목록』은 학계의 연구를 자의적으로 취합해 소장품 내역, 화가·제평자·서자의 범위, 수집시기, 제평내용을 재구성한 신출 자료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 악되었다. 무엇보다 2007년에 대두한 사료의 오독 내지 확대해석의 여파가 반영된 점, 20세기에야 정착되는 《열상화보》 개념이 적용된 점은 이를 18세기 문헌으로 긍정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결정적 인 근거다. 김광국이 아닌 제3자가 작성한 『목록』은 소장품의 규모와 구성부터 수집시기, 소장품 정보 표 기 및 제공방식, 관여자 등에 관한 사실이 기존 연구와 차이가 크다. 작가명·작품명 같은 소장품 내용과 수집시기가 중시된 반면, 소장자가 등한시된 이 문헌은 20세기와 21세기의 학술지식을 반 영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신출 정선 회화 15점을 포함한 267폭 모두를 김광국 소장품으로 제시 함으로써 18세기 중인수장가에 대한 이해를 교란하고 있다. 따라서 『목록』의 진술을 그대로 수용 한 접근법은 심각한 오류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철저한 사료비판과 제반사항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목차
Ⅱ. 『목록』에 실린 정선 회화의 현황과 쟁점
Ⅲ. 18세기 필사본으로서의 신빙성 문제
1. 필사본 『목록』의 작자와 시대
2. 《석농화원》과 구별되는 정보제공 방식
3. 주제와 맥락의 편향성과 그 기원
Ⅳ. 18세기 ‘열상화보’와의 관계성 문제
1. 《열상화보》관련 『목록』의 회화
2. 《열상화보》 관련 『흠영』 기사 다시 읽기
3. 18세기의 ‘열상화보’ 개념과 20세기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