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려 전기 불교미술의 지역성 고찰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부조 신장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in the Early Goryeo Dynasty - Focusing on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Gaesimsa Temple Site -

심영신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8집 2022.06 pp.121-1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Gaesimsa Temple Site in Yecheon,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examined through the composition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guardian deities carv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The Gaesimsa pagoda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y the local community of Yecheon. It inherited Unified Silla's general stone pagoda by placing a five-story body on the two-layered base. The Pagoda also continued Silla's tradition by engraving guardian reliefs on the base's upper and lower stories and the Pagoda's first story. In addition, inscriptions are engraved on the eastern side of the upper stylobate and the eaves of the cover stone. They are about when and who established the Pagoda and how its construction was processed, which is essential data. The importance of the data also lies in the guardian deity reliefs carv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The consist of the twelve zodiac statues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the Eight Deities in the upper part, and the Vajrapani of the firststory body. The combination of the Vajrapani represented on the pagoda body can be said to be new. Eight Deities are all expressed as standing statues, presenting new iconography, unlike the existing works of Unified Silla. It seems that the artistic idea of Goryeo was combined with the tradition of the Unified Silla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deities is unique; that is difficult to find other examples. The Pagoda can be evaluated as an artwork showing a sense of completeness of the sculpture as the last step of this combinatio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he Gaesimsa Temple site can be seen as a pagoda made with some local uniqueness beyond the influence of Buddhist culture in Gaegyeong, Goryeo's capital. It would have been the background for the new combination of the deities and the unique shape of the Eight Deities. Although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he Gaesimsa Temple site slightly differs from the aristocratic stylistic tendencies shown in the stone art of King Hyeonjong's reign (r. 1010-1031),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maximizing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the region at the tim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의 성격과 의미를 고려초 지역사회와 불교미술의 다양성이 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예천 지역민의 발원으로 건립된 개심사지 오층석탑은 이층 기단에 오층 의 탑신을 얹어 신라의 일반형 석탑을 계승한 고려 전기의 석탑이다. 상하층의 기단 면석과 1층 탑 신 면석에 부조를 새겨 이 역시 신라탑의 전통을 이은 것으로 보인다. 상층 기단 동측 면석과 남측과 서측 갑석 처마에는 건립 과정에 대한 명문이 새겨져 있어 탑에 대한 매우 중요한 정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의 중요성은 비단 명문에 그치지 않고 부조 신장상의 구성과 도상에도 나타난다. 신장상은 기단부 하층과 상층에 각기 십이지신상과 팔부중 상 그리고 1층 탑신의 금강역사상과 문비로 구성된다. 탑신부의 금강역사상은 이전에는 볼 수 없 던 새로운 배치 형식이며, 팔부중상 또한 기존과 달리 모두 입상으로 표현되었뿐 아니라 새로운 도상을 선보이고 있다. 개심사지 석탑의 독특한 조형성은 부조 신장상의 구성과 도상을 통해 발휘되고 있는데 이는 신 라 석탑의 전통 위에 고려의 아이디어가 더해지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개심사지 이후 고려시대 의 석탑에는 신장상이 매우 드물게 나타나기 때문에 개심사지 석탑의 신장상은 이런 조합의 마지 막 단계로서 조각의 완결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개심사지 석탑이 독특한 조형성을 발휘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이전 시대의 지역문화를 계승하 지만 수도 개경에서의 새로운 변화는 수용할 수 없었던 예천의 지리적인 위치를 꼽았다. 통일신라 후기부터 예천 인근의 경북지역에서는 신장상의 도상과 배치에 대한 새로운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 었고 개심사지 석탑에는 이러한 변화가 계승되었다. 다른 한편, 개경의 불교문화 영향권에서 벗어 난 지리적인 위치로 인해 어느 정도 예천의 지역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개심사지 오층 석탑의 조형과 부조 신장상은 현종대 석조미술에서 보여주는 화려하고 귀족적인 양식적 경향과는 어느정도 차이가 있으나 당시 지방의 문화 역량이 최대한 발휘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II. 개심사지 오층석탑과 부조상의 특징
1. 오층석탑의 특징
2. 신장상의 종류와 구성
III. 개심사지 오층석탑 부조상의 도상 분석
1. 하층 기단의 십이지신상
2. 상층 기단의 팔부중상
3. 초층 탑신의 금강역사상
IV. 개심사지 오층석탑의 지역성과 독자성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심영신 Shim, Yeoung Shin.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