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상룡의 독립투쟁과 가문의 수난 - 임청각 ‘몰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Lee Sang-ryong's struggle for independence and the hardships of his family

신운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e Sang-yong, who launched a righteous army and enlightenment struggle in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moved his headquarters to Seogando Island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10, leading the independence struggle of Seogando(서간 도) including Gyeonghaksa(경학사) in 1913, Bumindan(부민단) in 1913. In particular, he served in the Beijing Military Unification Association(북경군사통일회) in 1921, and led the Provisional Government(임시정부) as president in 1925. Since then, he has devoted himself to learning by sponsoring local governments in Seogando, such as Tonibu(xhddmlqn). In particular, he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Dangunist in modern Korea, given that the driving force of his independence struggle was minzokjui(민족주의). However, in inverse proportion to Lee Sang-ryong's status, his bereaved family was forced to walk the path of collapse. His son Lee Joon-hyung committed suicide in 1942, and his grandson Lee Byung-hwa died in 1952 at the age of 46 years old. His great grandson, Lee Hang-jeung, lived a life of struggle for the recovery of Im cheong-gak (임청각) on behalf of his missing and deceased brothers. Without his sacrific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publish 『Seokju-Yugo(국역 석주유고)』 toda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is life was a struggle against contradiction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f it were not for those who showed their desire for the heritage, if the previous Korean government had actively responded to the problems of descendants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if historical justice were alive, there would have been no tragedy of the Lee Sang-ryong family. Without the tragedy of the Lee Sang-ryong family, there would have been no tragedy in modern Korean history such as the Korean War. Restoring the legacy left by Lee Sang-ryong, including Lim cheong-gak, is a way to practice historical justic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is also an obligation of the times.

한국어

일제의 침략에 대응하여 의병투쟁·계몽운동을 전개한 이상룡은 1910년 일제의 대한제국 병탄 이후 본거지를 서간도로 옮겨 1911년 경학사, 1913년 부민단, 1919년 서로군정서 등 서간도 독립 투쟁을 주도하였다. 특히 그는 1921년 북경군사통일회에서 활동하였으며, 1925년 국무령으로 임 시정부를 이끌었다. 이후 통의부·정의부 등 서간도 자치기관을 지도하고 후원하면서도 학문에 진력하였다. 특히 그의 독립투쟁 추동력이 ‘민족주의’였다는 점에서 그는 한국 근대의 대표적인 단 군론자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상룡의 위상과 반비례하여, 그의 유족은 오히려 몰락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다. 아 들 이준형은 1942년 자살을 하였고, 손자 이병화는 1952년 왕성하게 활동할 나이(46세)에 사망 하였다. 그의 증손자 이항증은 행방불명과 사망한 형들을 대신하여 임청각 회복을 위해 분투하는 삶을 살았다. 그의 희생이 없었다면 오늘날 임청각의 모습과 『석주유고』의 발간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그의 삶은 한국 근현대사의 모순과의 투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산에 대해 욕망을 드러낸 사람들과 역대 한국정부의 독립투쟁가 후손들에 대한 미진한 정책 등으로 이상룡 가문의 비극은 여전히 치유되지 못한 상황이다. 물론 이는 근본적으로 한국 근현 대사의 모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청각을 비롯하여 이상룡이 남긴 유산을 회복하는 일은 역사정의를 실천하는 길이며, 한국 근현대사의 모순을 극복하는 길이며, 시대의 의무이기도 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상룡의 독립투쟁
Ⅲ. 독립투쟁의 추동력과 임청각의 의미
Ⅳ. 임청각 훼손과 이상룡 가문의 몰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운용 Shin, Woon yong. 광복회학술연구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