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무용의 철학적 의미

원문정보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Dance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Merleau-Ponty

오세복, 이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ilosophically explore the physicality of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 phenomenology. Methods Analysis of Discourse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Merleau-Ponty can systematize phenomenological thinking about the body, that is, the body frame, in the sense of time and space, and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an analysis frame. When interpreted in this context, dance is a body-based area, and it can be expected that it can be revealed as a performance embodied in various types through training or teaching in artistic and educational aspects. Conclusions Dance implies that it is an aesthetic medium that makes human life beautiful. Therefore, physicality can be assumed that everyday life is revealed as a body in time based on aesthetic sensitivity. Therefore, it mentions the need for a philosophical approach of researchers who can reflective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body's subjectivity revealed in dance.

한국어

본 연구는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관점으로 무용의 신체성을 철학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메를로 퐁티 는 신체 즉, 몸틀에 대한 현상학적 사고를 시간성과 공간의 의미로 체계화 할 수 있는데 분석틀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맥락으로 해석할 때 무용은 신체를 기반으로 한 영역으로 예술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훈련 또는 교수과정 을 통해 다양한 유형으로 체화된 연행성으로 드러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무용에서 드러나는 신체성은 무대에서 상연되어지는 몸과 일상에서의 몸의 의미가 상반된 의미가 아니라 안무가의 삶의 의미가 투영된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용은 인간의 삶을 아름답게 행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미적 매개체임을 내포하고 있다. 때문에 신체성은 일상의 삶이 미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시간성으로 몸으로 드러남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에서 드러나는 몸의 주체성을 성찰적으로 이해하고 상연할 수 있는 연구자들의 철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신체성의 철학적 의미
1.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2. 육화되는 신체에서의 연행성
3.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공간
무용에서 몸: 철학적 접근
1. 살아있는 몸으로 표현: 공연
2. 예술표현의 전달로서 몸: 성찰적 태도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오세복 Se bok Oh. 부산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 이유리 Yu Ree Yi. 부산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