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DEVAC Helicopter Operations during the Korean War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U.S. Army introducing helicopters as a new power asset and its operational aspect in the battlefield, focusing on the medical air transport function and attempts to derive the military historical meaning. Due to the mountains and po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U.S. army faced difficulties carrying out the war and in particular, it faced a threat that it could not promptly transport casualties during the war time. Accordingly, the U.S. army introduced helicopters as a means to overcome the topographical obstruction factor. At that time, mechanical development of rotorcraft was in its early stages. Since the Army was possessing only a few aircraft after the Air Force was separated, they received the Air Force and Navy helicopters, which were used to carry out maritime rescue, to transport casualties. Since then, the Army understand the medical value of rotorcrafts and has taken measures in order to possess its own capabilities. In 1951, although the number of aircraft was not sufficient, a unit composed of helicopters was created and further developed. Despite taking into account that helicopter was still in its early stage, the performance of helicopter was insufficient to (smoothly exhibit its mobility) operate on the battlefield. In particular, there were problems with po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lighting devices, insufficient battery power, and durability of the engine which could not sufficiently protect it from external impacts. In addition, because it was not previously planned military strength, some parts were always insufficient. However, pilots and rescue teams willingly performed evacuate breaking through the enemy's anti-aircraft fire treat, unless the environment was severely restricted the flight. Due to their dedication, the mortality rate of the injured halved compared to that of World War II. This was a spiritual value of the helicopter which was beyond its physical power. The battlefield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se two were combined, became the basis for the next military medical innovation of the next gener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6·25전쟁기 미군이 새로운 전력화 자산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는 과정과 그것 이 전장에서 운용된 양상을 의료 목적용 항공후송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그 군사 사적 의미 도출을 시도한 것이다. 미군은 한반도의 산악과 열악한 교통 인프라로 전쟁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특히 전선에서 발생한 부상자를 적시에 후송할 수 없는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미군은 지형 마 찰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였다. 당시 회전익 항공기의 기계적 발전은 초기 단계였으며 육군은 공군이 분리된 이후 소수의 기체만 보유했으므로 사 상자 후송을 위해 해상구조가 임무인 타군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았다. 이후 육군은 회전익 항공기의 의료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체적인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비록 기체 수가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헬리콥터로 구성된 부대를 창설하여 발전시켜 나갔다. 당시 헬리콥터 자체 성능은 초기 단계의 것임을 감안 하여도 전장에서 원활히 기동성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통신장비나 조명장치가 열악하거나 배터리 출력이 부족 한 문제 그리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방호 받지 못하는 엔진의 내구성 문제 등이 있 었고 또한 기 계획된 전력화 자산이 아닌 만큼 수리 부속도 항시 부족할 따름이었다. 그러나 조종사와 구조팀은 심대히 비행이 제한되는 환경이 아닌 한, 때로는 적의 대공 사격 위 협도 돌파하며 부상자를 후송하기 위한 비행을 기꺼이 수행하였고 이들의 헌신으로 후송된 부상자의 사망률은 급감하여 제2차 세계대전의 절반 수준을 달성하였다. 이것은 헬리콥터의 물리적 전력을 초월하는 정신적 가치였으며 이들이 결합 된 한반도 전장은 다음 세대의 군사의료혁신을 추동하는 반석이 되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회전익 항공기의 발전과 의무후송
Ⅲ. 미 육군의 의무후송 헬리콥터 운용
Ⅳ. 맺음말 및 현재적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