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형법상 전자기록 위작의 해석에 관하여 - 대법원 2020. 8. 27. 선고 2019도11294 판결을 계기로 -

원문정보

The Meaning of ‘Falsification’ of Electromagnetic Records

류화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rimes that attract investors by creating false cryptocurrency exchanges or by falsely manipulating transaction records on cryptocurrency trading sites in a situation where investment in cryptocurrency is hot. In relation to this record manipulation, the Supreme Court recently issued a decision on the concept of 'falsification' of electronic records, and here again, the opinions of judges were divid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urpose and logic of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opposition opinion of the Supreme Court's sentence of 2019Do11294 are analyzed and reviewed. The main issue of the case is whether the act of generating electronic records contrary to the will of the system installer or operator by abusing its authority constitutes a "falsification" of private electromagnetic records prescribed in Article 232-2 of the Criminal Act. In response, the majority opinion said, "In relation to the subject who installs and operates the system, a person who is not authorized to generate electronic records or inputs uni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electronic records, and a person who is authorized to enter false information in the scope of their duties is included in Article 227-2 of the Criminal Act. The above legal principles also apply to "falsification" defined as the aspect of the act in the crime of “falsification or alteration of private electromagnetic records” under Article 232-2 of the Criminal Act. The Supreme Court's legal principles on such forgery are valid and can be applied in this case." In response, the dissenting opinion is that "the Defendants' actions do not constitute a 'falsification' prescribed in Article 232-2 of the Criminal Act." Nevertheless, the lower court's judgment that the Defendants' actions constituted a "falsification" erred by misunderstanding the legal principles on the meaning of "falsification" as prescribed in Article 232-2 of the Criminal Act. Therefore, the judgment of the lower court regarding this part should be reversed and the case should be remanded to the lower court to hear and judge again." It has the opposite view of judging the Defendant's act as innocent by the majority opinion. The crime of falsification of electronic records is an area that requires an independent interpretation different from the crime of documents regarding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ment of electronic records, falsification, and other personality of electronic records. In this regard, the interpretation of previous studies on the crime of falsification of electronic records is review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reasonable 'falsification' is derived by reflecting the legislator's purpose of the concept of 'falsification' through the 1995 criminal law revision data. Based on this, the logical basis of each of the Supreme Court's majority and dissenting opinions is analyzed and critically reviewed to establish a valid concept of 'fake', and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ase and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to similar cases in the future is presented.

한국어

가상화폐 투자의 열기가 뜨거운 상황에서 허위의 가상화폐 거래 사이트를 만들거 나, 가상화폐 거래 사이트에서 개설자들이 거래기록을 허위로 조작하여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범죄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거래기록 조작과 관련하여 대법원에서 전자기록의 ‘위작’의 개념에 관하여 전원합의체 판결을 내린 바 있으며, 여기서도 견 해가 나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법원 2020. 8. 27. 선고 2019도11294 판결”을 계기로 전자기록 의 위작죄를 문서죄와는 독립적인 범죄로 보는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자 한다. 이 판 례에서는 “작성 권한 있는 자가 그 권한을 남용하여 허위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시 스템 설치·운영 주체의 의사에 반하는 전자기록을 생성한 행위가 형법 제232조의2에 서 정한 사전자기록의 ‘위작’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고 있다. 이에 대 해 다수의견은 “시스템을 설치·운영하는 주체와의 관계에서 전자기록의 생성에 관여 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 전자기록을 작출하거나 전자기록의 생성에 필요한 단위정보 의 입력을 하는 경우는 물론 시스템의 설치·운영 주체로부터 각자의 직무 범위에서 개개의 단위정보의 입력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이 그 권한을 남용하여 허위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시스템 설치·운영 주체의 의사에 반하는 전자기록을 생성하는 경우도 형법 제227조의2에서 말하는 전자기록의 ‘위작’에 포함된다고 판시하였다. 위 법리는 형법 제232조의2의 사전자기록등위작죄에서 행위의 태양으로 규정한 ‘위작’에 대해 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위작에 관한 대법원의 법리는 타당하므로 이 사건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반대의견은 다수의견이 유죄로 인정한 피 고인의 행위가 ‘위작’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무죄로 판단하는 정반대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기록위작죄는 그 성립요건인 전자기록, 위작, 전자기록의 타인성에 관하여 문서죄와 다른 독자적인 해석이 필요한 영역이라는 관점에서, 전자기록 위작 죄에 관한 선행 연구의 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95년도 형법개정 자료를 통한 ‘위작’ 개념에 대한 입법자의 취지를 반영하여 ‘위작’의 개념 은 문서죄의 ‘위조’와 달리, 권한 있는 자에 의한 허의 정보 입력도 포함되는 개념으 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로써 여러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록 위작범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위작의 의미에 관한 논의
Ⅲ. 전자기록 위작·변작죄의 독립적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화진 Ryu Hwa Jin.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