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집단 미술치료 체험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송재임, 김태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hav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d an experience through a group art therapy, and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Accordingly, three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a permanent rental housing were conducted for 13 Group art therapy sess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xcept pre- and post-interviews. The result is as follow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8 components and 3 semantic structures were derived. First of all, the components are ‘Expectations for Art Therapy’, ‘Spontaneous Exploration of the Past’, ‘looking at myself who has been old from a distance’, ‘Meaningful First Memory’, ‘Time to find out which I have buried’, ‘Communication within a small group’, ‘Satisfaction with art therapy using various senses’ and ‘Sprouting Hope’. And semantic structures is ‘relieving isolation and gaining emotional vitality through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experiencing in social relationships that exchange emotional support’ and ‘having room for self-ca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group art therapy was even more meaningful in terms of eliminating isolation, being able to find their own individuality, and experiencing emotion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Finally, it can be supplement with quantitative research as qualitative data for art therapy research targeting the elderly along.

한국어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를 통해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독거노인은 무엇을 경 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영구임대주택에 거 주하는 여성 독거노인 3명에게 사전, 사후 인터뷰와 60분씩 주 2회씩 13회기의 집단 미술치료 를 진행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3개의 의미구조가 도출되었다. 먼저 구성요소는 ‘미술치료에 대 한 기대감’,‘자발적인 과거 탐색’, ‘노인이 된 나를 거리를 두고 바라보기’, ‘의미있는 처음의 기 억’, ‘자신이 묻어뒀던 것을 알아차리는 시간’, ‘소집단 안에서의 소통’, ‘다양한 감각이 사용되는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감’, ‘싹트는 희망’이다. 다음 의미구조는 ‘집단 미술치료 참여를 통한 고 립감 해소와 정서적 활기를 얻음’, ‘정서적 지지를 주고 받는 사회적 관계 경험함’, ‘자기돌봄의 여유가 생김’이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집단 미술치료는 고립감 해소에서 큰 의미가 있었으며, 자신의 개성을 찾아갈 수 있었고, 정서적 지지와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연구의 질적 자료로서 양적 연구와 상호 보안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방법
1. Giorgi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2. 연구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Ⅲ. 결과
1. 미술치료에 대한 기대감
2. 자발적인 과거 탐색
3. 노인이 된 나를 거리를 두고 바라보게 됨
4. 의미있는 처음의 기억
5. 자신이 묻어뒀던 감정을 알아차리는 시간
6. 소집단 안에서의 소통
7. 다양한 감각이 사용되는 미술치료에 대한 만족감
8. 싹트는 희망
9. 독거노인들의 집단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구조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재임 Song, Jae-Im.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임상미술치료학과 석사졸업
  • 김태은 Kim, Tae-Eun.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