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steem in a School Refusing Adolescent : A Case Stud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self-esteem of an adolescent who refused to attend a school.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junior middle school girl, and this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program, which consists of 14 sessions once per week, lasted from December, 2021 to April, 2022 at A art therapy institute. To inspect changes of self-esteem, first, self-esteem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program, in follow-up, with every 3 sessio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KSD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program, in follow-up,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 the contents related self-esteem in reflection on sess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elf-esteem test and KSD. Second, positive changes were shown in the reflection contents related self-esteem on sessions. The positive result of the study were derived from activities of cognitive reconstruction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And it was derived from changing the focus of the program from problem-based to strength-b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등교거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여학생이며, 14회기 주 1회로 구성된 인지행동 미술치료는 A 미술치료연구소에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진행되었다.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첫째,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 그리고 매 3회기마다 실시 하고 비교하고, KSD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 실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회기 중의 자 아존중감 관련 반영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 감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 KSD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회기별 자아존중감 반영 내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인지행동 미술 치료에서 인지재구성을 위한 활동들 그리고 프로그램이 문제기반에서 강점기반으로 초점을 변 경시킨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 및 모집 방법
2. 연구대상
3. 가족관계 및 개인사
4. 평정 도구
4. 사례개념화
5. 자료 분석
6. 연구절차
7. 미술치료 프로그램
Ⅲ. 연구 결과
1. 심리검사에서의 변화
2. 반영 내용의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