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성과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e Learning Community Programs Scales

임혜진, 이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 competence, managing the quality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 measurement category for learning community performance was selected and content validity was conducted.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233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311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ose extracted constructs were valid by showing good fit indices. The instrument developed a 20-item scale of learning community competence which consisted of four factors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중 학습공동체 활동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의 개발을 통해 학생 역량 발달의 성과 확인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에 목적이 있다. 도구 개발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및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경남 소재 A대학 재학생 중 2021학년도 1학기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233명을 대상으로 1 차,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1학년도 2학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31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 적합성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 및 검사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성과 측정도구가 적절하게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비교 과 학습공동체의 측정 문항으로 자기주도학습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문제해결역량 등 4 개 영역 20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2. 대학에서의 학습공동체
3. 학습공동체 성과 측정 도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예비문항 구성 및 내용타당도
3. 예비조사
4. 본조사
Ⅳ. 연구 결과
1. 1차 예비조사 문항 선정 및 시행 결과
2. 2차 예비조사 시행 결과
3. 본조사 시행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혜진 Lim, Hyejin.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수료
  • 이문수 Lee, Moonsoo.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