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earch Motivation
초록
영어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is highly likely to lead to a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and low job satisfaction is highly likely to lead to high absenteeism and deterioration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which in turn leads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Worker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ct as stress, and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internal capacity to control and alleviate such stress. Therefore, despite the existence of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studies that can effectively deal with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re needed because active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in the mean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workers at work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14th survey of the youth panel data, and it was targeted to 5,600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out of 9,773 currently employed workers. t-test with SPSS 22.0 for analysis. Correlation was analyz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motivation according to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motivation was higher among those who had never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an those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earch motivation. Third, in the process where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workers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eeking motivation was verified. In conclusion,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strengthen job search motivation for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were discussed. It is also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한국어
근로현장에서의 근로자 차별은 직장만족도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즉 낮은 직장만족도는 잦 은 결근, 조직관계 악화로 이어져 결국 생산성의 하락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근로자들의 직장 내 차 별경험은 스트레스로 작용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완화하기 위한 내적 역량 강화가 중요하 다. 이에 직장 내에서의 차별경험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기 때문에 직장 내 차별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들이 직장 내에서 경험하는 차별수준이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살펴보고, 차별수준과 직장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구직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년패널 데이터 14차 조사자료를 사용하였고, 현재 재직 중인 근로자 9,773명 중 성 실하게 응답한 5,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2.0으로 빈도, t-test. 평균값 분석, 상 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석결과 첫째, 직장 내 차별경험에 따른 직장만족도, 구직동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차 별 무경험자가 차별 유경험자보다 직장만족도와 구직동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들이 경 험하는 직장 내 차별수준이 직장만족도와 구직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 로자들이 경험하는 직장 내 차별수준이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직동기는 부분 매개효 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 내에서 차별을 경험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구직동 기를 강화할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직장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 한 근로자들이 만족하는 직장임을 가늠해 주는 평등한 직장 문화 조성을 위한 제도적, 정책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직장만족도
2.2 구직동기
2.3 직장 내 차별 경험
2.4 직장만족도에 작용하는 직장내 차별경험과 구직동기와의 관계
Ⅲ. 실증연구
3.1 연구모형
3.2 분석대상
3.3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3.4 자료 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
4.1 직장 내 차별 수준, 구직동기, 직장만족도 기술통계 분석
4.2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직장 내 차별 수준, 구직동기, 직장만족도
4.3 직장 내 차별경험에 따른 구직동기, 직장만족도
4.4 직장 내 차별 수준, 구직동기, 직장만족도와의 상관관계
4.5 직장 내 차별 수준과 직장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구직동기의 매개효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