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부정 논문

[철회논문]안성 역사마을 장소브랜드 디지털 미디어전시 방안 연구

원문정보

[철회논문]A Study on the Digital Media Exhibition of Place Brand in Anseong History Village

강형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reate a restoration plan for nine his toric site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nseong Historical Village, a symbol of the three-day independence moveme nt, and suggests a digital media exhibition to create a his torical village as a place brand content. The temporal ran ge is from November 10, 2020 to May 8, 2021, and the loc ation range is from Anseong-si, Gyeonggi-do (such as D onghang-ri, Yangseong-myeon), and the project is carrie d out throughout the establishment of the Anseong Indep endence Movement History Village Comprehensive Maint enance Plan. As a research method, concepts such as hist orical reproduction, memorial succession, and practical co nvenience were derived with the goal of creating a histor ical village space restoration plan through the cooperation of Anseong-si and university resear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is to present a plan for directing the exhibition of historical villages. As a way to direct the ex hibition of the historical village, there are experiences of competition, historical village theater performances, and h istorical village art museums. Second, through storytellin g and the creation of Dulle-gil, it is a space for historical reproduction, a space for memorial succession, and a spac e for practical convenience. Finally, the third conclusion can be proposed to create Gwangboksa & 3.1 Movement Memorial Hall, Village Theater (Video Hall), Independenc e Square, Rakibium (Village Library + Library + Children 's Museum), Village Art Museum, and Digital Exhibition & Information Center.

한국어

본 연구는 2일간의 완벽한 독립을 이룬 3대 3.1운동 실력 항쟁의 상징 장소인 안성 역사마을을 배경으로 설정된 사적 지 9곳의 복원계획 조성목표를 세우고 역사마을 디지털 미디 어전시 연출안을 제안하여 주민 환경개선 효과까지 이어지는 역사마을 조성 방안을 장소브랜드 콘텐츠로 발굴 제안하고자 한다. 시간적 범위는 2020년 11월 10일부터 2021년 5월 8일까 지이며, 장소적 범위는 경기도 안성시 일원(양성면 동항리 일 대 등)이며, 사업 수행 내용은 안성 독립운동 역사마을 종합 정비계획 수립 전반이다. 연구방법으로 안성시와 대학연구자 의 협력으로 역사마을 공간 복원계획 조성목표로 역사재현, 추모계승, 실용편의 등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번 째, 역사마을 전시 연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역사마을 전시 연출 방안으로 실력항쟁 체험, 역사마을 극장 공연, 역 사마을 미술관 등이다. 두번째, 스토리텔링과 둘레길 조성으 로 역사 재현의 공간, 추모 계승의 공간, 실용 편의 공간 등이 다. 마지막 세 번째 결론적으로 만세이야기길과 역사마을 벽 화둘레길로 광복사 & 3.1운동기념관, 마을극장(영상관), 독립 광장, 라키비움(마을도서관+도서관+어린이박물관), 마을미술 관, 디지털전시관&안내센터 등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미래적 관점에서 역사마을의 성격을 설정 후 근대 역사 마을 체험관 개축 계획 제안하였다. 근대 역사마을 카페, 근 대 역사마을 뮤지업샵, 근대 역사문화 체험공간 등 역사마을 콘텐츠 복합문화공간 구축으로 역사공간의 문화체험적 유입 과 조화로 전환적 모색을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안성 독립운동 역사마을
2.1. 안성독립운동 역사마을 개요
2.2. 독립운동 콘텐츠
2.3. 역사마을 국내사례
3. 역사마을 조성
3.1. 독립운동 역사마을 공간 설정
3.2. 역사마을 디지털 미디어전시 연출
3.3. 스토리텔링과 둘레길 조성
4. 결론
4.1. 주민 환경개선 효과
4.2. 실무적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형철 Kang Hyung Chul. 상명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